{"title":"Place Evaluation for Daegu Bongsan Cultural Street\"s Place Marketing Stratege","authors":"Sumin Shin, Soonho Park","doi":"10.26863/jkarg.2023.8.29.3.291","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91","url":null,"abstract":"장소마케팅 전략은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특정 장소의 문화를 반영하여 목표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장소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전략에 선행되어야만 하는 장소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마케팅 대상인 장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봉산문화거리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기존 기능의 약화와 새로운 기능의 유입으로 변화를 겪고있는 봉산문화거리를 다각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대구의 문화공간 중 하나인 봉산문화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 Exploratory Study on the Vulnerabilities and Survival Strategies of Stranded Migrants due to Conflicts between Countries : Focusing on Indian Students in Ukraine","authors":"Savita Kumari, Su-Jeong Kim","doi":"10.26863/jkarg.2023.8.29.3.340","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40","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있던 인도인 유학생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이 묶인 이주자가 되어 경험하는 어려움과 취약성, 생존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인 유학생들은 인도 정부의 구출 작전이 실시되기 전까지 정부의 국경 통제와 이동 제약으로 인해 필수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하는 취약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들은 필수 서비스에 대한 접근 부족 뿐만 아니라 재정 상의 문제로 학업을 중단하거나 원치 않는 국가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둘째, 국경 통제와 이동 제한으로 발이 묶인 인도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존을 모색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들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도인 유학생들은 우크라이나에 발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들이 처해 있는 취약한 상황을 알리고 고립된 이주자들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도 대사관이나 정부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보였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 Analysis on Daegu Buksung-ro Urban Regeneration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ustainability","authors":"Kyung-Hee Kwon","doi":"10.26863/jkarg.2023.8.29.3.309","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09","url":null,"abstract":"최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부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 구성요소, 역할 및 평가는 학문적・정책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그간 사회적이고 무형적인 것에 대한 개념 정의와 측정의 어려움으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속가능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의 수준에서, 특히 미시적인 산업 골목을 대상으로 한 사업 단위에서 적용가능한 요소는 사회적 형평성, 지역 정체성, 사회적 혼합성이라 할 수 있다. 201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북성로 공구골목의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초의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에는 지역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정체성을 발굴하여 주민의 공감을 얻었다. 지역성이 반영된 정체성은 도시재생사업의 중심 테마로 설정되었고 주민참여는 적극성, 자발성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에 대한 공감과 자발적 참여는 비물질적인 혜택에서의 만족도를 높여 사회적 형평성을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여를 통해 물리적 혼합만이 아닌 사회적 혼합, 신뢰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ystematization of Community Development in Agricultural and Mountainous Villages","authors":"Ju-Seong Han","doi":"10.26863/jkarg.2023.8.29.3.267","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6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농・산촌공간의 상품화와 귀농・귀촌을 지역진흥의 시선으로 지역 만들기를 체계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하도록 내적 발전의 규정요소를 밝히며 풍요로운 자연・저밀도 거주지역으로서 새로운 가치와 그 틀 만들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창적인 지역 만들기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자유의지에 따라 권역을 형성하고, 지역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활용해 다양한 주체로 중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와 농산어촌의 제휴로 매력적인 지역을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실현과 지역의 자부심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Geotourism Program of the Gaedo Island in Yeosu City, South Korea : Regarding the Gaedo Island Ranch during the Joseon Dynasty","authors":"Jeong-Hun Lee, Eun-Il Song","doi":"10.26863/jkarg.2023.8.29.3.324","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24","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 개도 지역의 조선시대 목장 조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목장 조성에 영향을 미친 자연・인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개도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나아가 당시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함으로써 지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오투어리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현지답사와 지역주민,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목양지 위치와 지세의 특성, 목장성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개도 목장은 임진왜란 이후 설치되어 조선 후기까지 조선 정부의 마정 일부를 담당하였고, 국영 소나무 배양지 내지 둔전의 기능까지 있었다. 목장 조성의 요인으로서는 기후보다는 지형 요인이 많이 작용했으며, 해상교통 요충지로서 인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자연경관 자원과 함께 섬의 역사・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장소로써 지오투어리즘 탐방로를 4개 코스로 구성하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Location Characteristics of Uam Historic Park in Daejeon based on Topographic Analysis","authors":"Myung-Ja Jeong, Ji-Hoon Park","doi":"10.26863/jkarg.2023.8.29.3.281","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81","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우암사적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지형도와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으로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건물의 표고 범위는 100~131m이며, 특히 120~130m에 집중한다. ② 건물의 경사도는 0.1~6°이며, 대부분의 건물이 1°이하에 분포한다. ③ 건물의 사면향은 서향, 북서향이 우세하다. ④ 남간정사 및 주변 건물은 평탄한 경사도와 일조량이 매우 풍부한 남향사면 그중에서도 남향계열의 좌향을 띠고 있어 지형적으로 매우 뛰어난 입지적 특징을 가진다. ⑤ 서원은 남간정사와 비교하여 입지의 지형환경과 좌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지만 서쪽으로 뛰어난 경관이 건물의 입지선정에 주요 인자로 파악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Discourse Analysis of Food Geography Represented on the Australian Geography Textbook","authors":"Wonseob Song, Chul-Ki Cho","doi":"10.26863/jkarg.2023.8.29.3.355","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55","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오스트레일리아 국가지리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출판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식량지리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 것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량은 원료/자원(농산물)에서부터 가공된 식량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둘째, 식량이 자연(바이옴)과 인간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농식품지리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셋째, 식량은 식량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과정을 아우르는 식량사슬 및 식량시스템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넷째, 식량은 글로벌 식량안보와 관련하여 글로벌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다섯째, 식량은 인구성장, 기후변화, 식량안보, 경제적 복지 등 인류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식량 소비뿐만 아니라 식량 생산에 있어서의 윤리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다. 그러나 식량 선택과 식량 안전에 대해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식량을 개인의 건강 문제와 연결시키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향후 대한민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식량지리 내용을 구성할 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912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haracteristic Analysis of Living Lab as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the Case of ‘Daegu×Youth Social Living Lab","authors":"Hana Yu","doi":"10.26863/jkarg.2023.05.29.2.176","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76","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을 사례로 지원사업이 제시한 문제해결 목표와 중간지원조직 중심의 추진 특성, 리빙랩 팀의 성격 및 진행 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사업 초기인 2017~18년에 민간 사회적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으로 활동하면서, 청년들이 지역의 현안에 관심을 갖고 사회문제를 발굴하는, 이른바 리빙랩의 기틀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 집중하였다. 2019년은 지역 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기술 중심의 혁신 역량 강화로 사업의 지원 범주가 좀 더 확대되었다. 이후 2020년부터 현재까지 지역 도시재생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보다 분명한 도시재생 리빙랩으로서의 방향이 확립되었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다양한 중간지원조직을 선정하며 리빙랩의 경험과 역량을 누적해가는 단계이다. 따라서 향후 사례 연구를 축적하고,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및 리빙랩의 특성에 따른 지역 역량의 변화 등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0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omestic Translocal Residence Explored through Dual-Location Dwelling : Cases Involving the Greater Seoul Area in Korea","authors":"Boseul Kim","doi":"10.26863/jkarg.2023.05.29.2.217","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17","url":null,"abstract":"‘두 지역살이’는 원래의 주거지와 떨어진 다른 지역에 주거지를 두고, 두 곳을 오가며 일하고 생활하는 주거 방식을 말한다. 이 연구는 최근의 사례 안에서 이러한 생활을 살피고 이를 ‘국내형 트랜스로컬 거주’로 개념화한다. 두 지역살이는 일련의 계급성에 기인한 거주분열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 거주자가 선택한 두 지역은 거주자가 느끼는 중요도와 소속감에 따라 ‘메인’과 ‘서브’로 나뉘며 그 관계는 유동적이다. 또한 두 지역살이의 긍정성과 부정성은 크게 관계적 측면, 시간 · 공간적 측면, 물질적 측면으로 경험되고 공간전략이 뒤따른다. 여기에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트랜스로컬리즘은 그간 국제 이주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데에 기여했으나 이 연구에서는 국내 사례를 분석하여 그 외연을 확장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367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tudy on Evaluation of Locational Appropriateness Priorit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Depopulated Areas : A Case of Convergence Care Facilities","authors":"Mun-Hyun Jang, Young-Jin Ahn","doi":"10.26863/jkarg.2023.05.29.2.161","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61","url":null,"abstract":"수도권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들은 정부의 선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역은 경제활동 위축 및 구매력 감소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시설의 수요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과 입지 적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시설 복합화와 입지 적정화가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중에서 융복합 돌봄시설의 입지 적정성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대상지는 화순군으로 관련 시설의 규모와 접근성에 기초하여 공급력을 도출하고, 인구밀도를 고려한 연령대별 수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봄시설의 공급 지수와 수요 지수를 중첩하여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1~3순위)는 시설의 수요도와 공급력의 등급 분류 및 교차분석을 통해 격자 단위로 평가하였다. 입지 우선순위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수혜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을 증진하는 후속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36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