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农村和山区社区发展的系统化","authors":"Ju-Seong Han","doi":"10.26863/jkarg.2023.8.29.3.26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농・산촌공간의 상품화와 귀농・귀촌을 지역진흥의 시선으로 지역 만들기를 체계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하도록 내적 발전의 규정요소를 밝히며 풍요로운 자연・저밀도 거주지역으로서 새로운 가치와 그 틀 만들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창적인 지역 만들기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자유의지에 따라 권역을 형성하고, 지역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활용해 다양한 주체로 중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와 농산어촌의 제휴로 매력적인 지역을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실현과 지역의 자부심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ystematization of Community Development in Agricultural and Mountainous Villages\",\"authors\":\"Ju-Seong Han\",\"doi\":\"10.26863/jkarg.2023.8.29.3.26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농・산촌공간의 상품화와 귀농・귀촌을 지역진흥의 시선으로 지역 만들기를 체계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하도록 내적 발전의 규정요소를 밝히며 풍요로운 자연・저밀도 거주지역으로서 새로운 가치와 그 틀 만들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창적인 지역 만들기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자유의지에 따라 권역을 형성하고, 지역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활용해 다양한 주체로 중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와 농산어촌의 제휴로 매력적인 지역을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실현과 지역의 자부심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Systematization of Community Development in Agricultural and Mountainous Villages
본 연구는 농・산촌공간의 상품화와 귀농・귀촌을 지역진흥의 시선으로 지역 만들기를 체계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하도록 내적 발전의 규정요소를 밝히며 풍요로운 자연・저밀도 거주지역으로서 새로운 가치와 그 틀 만들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창적인 지역 만들기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자유의지에 따라 권역을 형성하고, 지역의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활용해 다양한 주체로 중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와 농산어촌의 제휴로 매력적인 지역을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실현과 지역의 자부심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