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丽水市开江岛地理旅游项目研究——以朝鲜时代开江岛牧场为例","authors":"Jeong-Hun Lee, Eun-Il Song","doi":"10.26863/jkarg.2023.8.29.3.32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 개도 지역의 조선시대 목장 조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목장 조성에 영향을 미친 자연・인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개도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나아가 당시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함으로써 지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오투어리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현지답사와 지역주민,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목양지 위치와 지세의 특성, 목장성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개도 목장은 임진왜란 이후 설치되어 조선 후기까지 조선 정부의 마정 일부를 담당하였고, 국영 소나무 배양지 내지 둔전의 기능까지 있었다. 목장 조성의 요인으로서는 기후보다는 지형 요인이 많이 작용했으며, 해상교통 요충지로서 인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자연경관 자원과 함께 섬의 역사・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장소로써 지오투어리즘 탐방로를 4개 코스로 구성하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Geotourism Program of the Gaedo Island in Yeosu City, South Korea : Regarding the Gaedo Island Ranch during the Joseon Dynasty\",\"authors\":\"Jeong-Hun Lee, Eun-Il Song\",\"doi\":\"10.26863/jkarg.2023.8.29.3.32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 개도 지역의 조선시대 목장 조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목장 조성에 영향을 미친 자연・인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개도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나아가 당시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함으로써 지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오투어리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현지답사와 지역주민,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목양지 위치와 지세의 특성, 목장성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개도 목장은 임진왜란 이후 설치되어 조선 후기까지 조선 정부의 마정 일부를 담당하였고, 국영 소나무 배양지 내지 둔전의 기능까지 있었다. 목장 조성의 요인으로서는 기후보다는 지형 요인이 많이 작용했으며, 해상교통 요충지로서 인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자연경관 자원과 함께 섬의 역사・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장소로써 지오투어리즘 탐방로를 4개 코스로 구성하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2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2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Geotourism Program of the Gaedo Island in Yeosu City, South Korea : Regarding the Gaedo Island Ranch during the Joseon Dynasty
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 개도 지역의 조선시대 목장 조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목장 조성에 영향을 미친 자연・인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개도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나아가 당시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함으로써 지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오투어리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현지답사와 지역주민,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목양지 위치와 지세의 특성, 목장성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개도 목장은 임진왜란 이후 설치되어 조선 후기까지 조선 정부의 마정 일부를 담당하였고, 국영 소나무 배양지 내지 둔전의 기능까지 있었다. 목장 조성의 요인으로서는 기후보다는 지형 요인이 많이 작용했으며, 해상교통 요충지로서 인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자연경관 자원과 함께 섬의 역사・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장소로써 지오투어리즘 탐방로를 4개 코스로 구성하여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