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the Vulnerabilities and Survival Strategies of Stranded Migrants due to Conflicts between Countries : Focusing on Indian Students in Ukraine
{"title":"An Exploratory Study on the Vulnerabilities and Survival Strategies of Stranded Migrants due to Conflicts between Countries : Focusing on Indian Students in Ukraine","authors":"Savita Kumari, Su-Jeong Kim","doi":"10.26863/jkarg.2023.8.29.3.340","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있던 인도인 유학생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이 묶인 이주자가 되어 경험하는 어려움과 취약성, 생존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인 유학생들은 인도 정부의 구출 작전이 실시되기 전까지 정부의 국경 통제와 이동 제약으로 인해 필수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하는 취약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들은 필수 서비스에 대한 접근 부족 뿐만 아니라 재정 상의 문제로 학업을 중단하거나 원치 않는 국가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둘째, 국경 통제와 이동 제한으로 발이 묶인 인도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존을 모색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들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도인 유학생들은 우크라이나에 발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들이 처해 있는 취약한 상황을 알리고 고립된 이주자들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도 대사관이나 정부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보였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4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있던 인도인 유학생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이 묶인 이주자가 되어 경험하는 어려움과 취약성, 생존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인 유학생들은 인도 정부의 구출 작전이 실시되기 전까지 정부의 국경 통제와 이동 제약으로 인해 필수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하는 취약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들은 필수 서비스에 대한 접근 부족 뿐만 아니라 재정 상의 문제로 학업을 중단하거나 원치 않는 국가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둘째, 국경 통제와 이동 제한으로 발이 묶인 인도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존을 모색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들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도인 유학생들은 우크라이나에 발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들이 처해 있는 취약한 상황을 알리고 고립된 이주자들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도 대사관이나 정부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