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地形分析的大田岩岩历史公园区位特征","authors":"Myung-Ja Jeong, Ji-Hoon Park","doi":"10.26863/jkarg.2023.8.29.3.28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우암사적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지형도와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으로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건물의 표고 범위는 100~131m이며, 특히 120~130m에 집중한다. ② 건물의 경사도는 0.1~6°이며, 대부분의 건물이 1°이하에 분포한다. ③ 건물의 사면향은 서향, 북서향이 우세하다. ④ 남간정사 및 주변 건물은 평탄한 경사도와 일조량이 매우 풍부한 남향사면 그중에서도 남향계열의 좌향을 띠고 있어 지형적으로 매우 뛰어난 입지적 특징을 가진다. ⑤ 서원은 남간정사와 비교하여 입지의 지형환경과 좌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지만 서쪽으로 뛰어난 경관이 건물의 입지선정에 주요 인자로 파악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Location Characteristics of Uam Historic Park in Daejeon based on Topographic Analysis\",\"authors\":\"Myung-Ja Jeong, Ji-Hoon Park\",\"doi\":\"10.26863/jkarg.2023.8.29.3.28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우암사적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지형도와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으로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건물의 표고 범위는 100~131m이며, 특히 120~130m에 집중한다. ② 건물의 경사도는 0.1~6°이며, 대부분의 건물이 1°이하에 분포한다. ③ 건물의 사면향은 서향, 북서향이 우세하다. ④ 남간정사 및 주변 건물은 평탄한 경사도와 일조량이 매우 풍부한 남향사면 그중에서도 남향계열의 좌향을 띠고 있어 지형적으로 매우 뛰어난 입지적 특징을 가진다. ⑤ 서원은 남간정사와 비교하여 입지의 지형환경과 좌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지만 서쪽으로 뛰어난 경관이 건물의 입지선정에 주요 인자로 파악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am Historic Park in Daejeon based on Topographic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우암사적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지형도와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으로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건물의 표고 범위는 100~131m이며, 특히 120~130m에 집중한다. ② 건물의 경사도는 0.1~6°이며, 대부분의 건물이 1°이하에 분포한다. ③ 건물의 사면향은 서향, 북서향이 우세하다. ④ 남간정사 및 주변 건물은 평탄한 경사도와 일조량이 매우 풍부한 남향사면 그중에서도 남향계열의 좌향을 띠고 있어 지형적으로 매우 뛰어난 입지적 특징을 가진다. ⑤ 서원은 남간정사와 비교하여 입지의 지형환경과 좌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지만 서쪽으로 뛰어난 경관이 건물의 입지선정에 주요 인자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