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社会可持续性视角下的大邱北城路城市更新项目分析","authors":"Kyung-Hee Kwon","doi":"10.26863/jkarg.2023.8.29.3.30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부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 구성요소, 역할 및 평가는 학문적・정책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그간 사회적이고 무형적인 것에 대한 개념 정의와 측정의 어려움으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속가능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의 수준에서, 특히 미시적인 산업 골목을 대상으로 한 사업 단위에서 적용가능한 요소는 사회적 형평성, 지역 정체성, 사회적 혼합성이라 할 수 있다. 201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북성로 공구골목의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초의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에는 지역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정체성을 발굴하여 주민의 공감을 얻었다. 지역성이 반영된 정체성은 도시재생사업의 중심 테마로 설정되었고 주민참여는 적극성, 자발성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에 대한 공감과 자발적 참여는 비물질적인 혜택에서의 만족도를 높여 사회적 형평성을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여를 통해 물리적 혼합만이 아닌 사회적 혼합, 신뢰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 Analysis on Daegu Buksung-ro Urban Regeneration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ustainability\",\"authors\":\"Kyung-Hee Kwon\",\"doi\":\"10.26863/jkarg.2023.8.29.3.30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부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 구성요소, 역할 및 평가는 학문적・정책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그간 사회적이고 무형적인 것에 대한 개념 정의와 측정의 어려움으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속가능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의 수준에서, 특히 미시적인 산업 골목을 대상으로 한 사업 단위에서 적용가능한 요소는 사회적 형평성, 지역 정체성, 사회적 혼합성이라 할 수 있다. 201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북성로 공구골목의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초의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에는 지역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정체성을 발굴하여 주민의 공감을 얻었다. 지역성이 반영된 정체성은 도시재생사업의 중심 테마로 설정되었고 주민참여는 적극성, 자발성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에 대한 공감과 자발적 참여는 비물질적인 혜택에서의 만족도를 높여 사회적 형평성을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여를 통해 물리적 혼합만이 아닌 사회적 혼합, 신뢰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 Analysis on Daegu Buksung-ro Urban Regeneration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ustainability
최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부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 구성요소, 역할 및 평가는 학문적・정책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그간 사회적이고 무형적인 것에 대한 개념 정의와 측정의 어려움으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속가능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의 수준에서, 특히 미시적인 산업 골목을 대상으로 한 사업 단위에서 적용가능한 요소는 사회적 형평성, 지역 정체성, 사회적 혼합성이라 할 수 있다. 201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북성로 공구골목의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초의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에는 지역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정체성을 발굴하여 주민의 공감을 얻었다. 지역성이 반영된 정체성은 도시재생사업의 중심 테마로 설정되었고 주민참여는 적극성, 자발성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에 대한 공감과 자발적 참여는 비물질적인 혜택에서의 만족도를 높여 사회적 형평성을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참여를 통해 물리적 혼합만이 아닌 사회적 혼합, 신뢰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