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haracteristic Analysis of Living Lab as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the Case of ‘Daegu×Youth Social Living Lab","authors":"Hana Yu","doi":"10.26863/jkarg.2023.05.29.2.176","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을 사례로 지원사업이 제시한 문제해결 목표와 중간지원조직 중심의 추진 특성, 리빙랩 팀의 성격 및 진행 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사업 초기인 2017~18년에 민간 사회적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으로 활동하면서, 청년들이 지역의 현안에 관심을 갖고 사회문제를 발굴하는, 이른바 리빙랩의 기틀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 집중하였다. 2019년은 지역 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기술 중심의 혁신 역량 강화로 사업의 지원 범주가 좀 더 확대되었다. 이후 2020년부터 현재까지 지역 도시재생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보다 분명한 도시재생 리빙랩으로서의 방향이 확립되었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다양한 중간지원조직을 선정하며 리빙랩의 경험과 역량을 누적해가는 단계이다. 따라서 향후 사례 연구를 축적하고,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및 리빙랩의 특성에 따른 지역 역량의 변화 등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7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을 사례로 지원사업이 제시한 문제해결 목표와 중간지원조직 중심의 추진 특성, 리빙랩 팀의 성격 및 진행 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사업 초기인 2017~18년에 민간 사회적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으로 활동하면서, 청년들이 지역의 현안에 관심을 갖고 사회문제를 발굴하는, 이른바 리빙랩의 기틀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 집중하였다. 2019년은 지역 기업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기술 중심의 혁신 역량 강화로 사업의 지원 범주가 좀 더 확대되었다. 이후 2020년부터 현재까지 지역 도시재생지원기관이 중간지원조직이 되어 보다 분명한 도시재생 리빙랩으로서의 방향이 확립되었다. 대구×청년 소셜리빙랩은 다양한 중간지원조직을 선정하며 리빙랩의 경험과 역량을 누적해가는 단계이다. 따라서 향후 사례 연구를 축적하고,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및 리빙랩의 특성에 따른 지역 역량의 변화 등 다양한 관점의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