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Urban Geographical Education : A Perspective of Critical Democratic Education 职前小学教师对城市地理教育的理解:批判民主教育的视角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Pub Date : 2023-05-31 DOI: 10.26863/jkarg.2023.05.29.2.231
Gapcheol Kim, Hyunjong Noh
{"title":"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Urban Geographical Education : A Perspective of Critical Democratic Education","authors":"Gapcheol Kim, Hyunjong Noh","doi":"10.26863/jkarg.2023.05.29.2.231","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31","url":null,"abstract":"최근 교육부는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 고시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민주시민성 함양’을 개정의 중점 사안으로 발표했다. 본 연구는 개정 국가교육과정의 본격적인 적용에 앞서, 민주시민교육의 핵심 행위자가 될 예비 초등교사의 민주시민교육 담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중요한 교육 목적으로서 민주시민교육, 교육 내용으로서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참고하여,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설계한 도시 수업지도안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한다. 혼합 연구를 통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도시지리수업에서 어떠한 인식론적 기술들에 의지하여 근대적 담론의 민주시민성 함양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끝으로, 대안적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인 정치성과 윤리성을 지원할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 교육 방식 및 학술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0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ecentralizat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in France 法国的分权与行政区划重组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Pub Date : 2023-05-31 DOI: 10.26863/jkarg.2023.05.29.2.147
Jisun Kim, Young-Jin Ahn
{"title":"Decentralizat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in France","authors":"Jisun Kim, Young-Jin Ahn","doi":"10.26863/jkarg.2023.05.29.2.147","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47","url":null,"abstract":"프랑스는 수 세기에 걸쳐 중앙집권체제를 형성해 왔으나, 1980년대 초반부터 지방분권화 개혁을 통해 지방화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프랑스의 지방분권화는 제1막부터 제3막에 걸쳐 이루어져 왔으며, 그 목표는 지방자치단체가 위주의 국토계획을 통한 국토의 불균등 문제를 완화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학적 관점에서 프랑스 지방분권화 과정에서 국토불균등에 관한 논의의 변화와 새롭게 형성된 레지옹(Région)의 권한과 역할 그리고 구역 개편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고찰하고, 특히 지방분권화 제3막에서의 레지옹 행정구역 개편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 프랑스 지방분권화 시작의 배경에는 국토 불균등과 레지옹의 영토 분할이 있었으며, 지방분권화 제1막부터 제3막까지 레지옹의 역할과 권한이 꾸준히 강화되어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방분권화 제3막에서는 무엇보다 레지옹의 공간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며, 올랑드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에서 논의된 지역들은 인구감소와 지역 빈곤율 그리고 공간적 네트워크 등과 깊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39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ality among the Future Occupation, Investment and Quality of life of graduate Students : In Case of B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研究生未来职业、投资与生活质量的关系调查——以釜山市B大学为例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Pub Date : 2023-05-31 DOI: 10.26863/jkarg.2023.05.29.2.203
Kyutaeg Park
{"title":"The Investigation of Relationality among the Future Occupation, Investment and Quality of life of graduate Students : In Case of B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authors":"Kyutaeg Park","doi":"10.26863/jkarg.2023.05.29.2.203","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03","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미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B대학교에 다니는 21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세 가지 질문에 응답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의 단어 빈도와 의미연결망을 TEXTOM과 UCINET 6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중심성의 순위 차이를 비모수통계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상위층에서 하위층으로 내려가면서 중첩성이 감소되었다. 둘째, 단어의 의미연결망은 세 개의 중심성으로 분석되었다. 연결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의 분포에서 상위층의 단어는 중첩되어 있지만 하위층은 다양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중심성 단어의 순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 사이의 관계 모형을 만드는 과정과 진로 교육의 방향과 내용 및 지역 기업의 인재 채용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0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Jeju Haenyeo(Women Divers) 济州海女(女潜水员)社会话语分析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Pub Date : 2023-05-31 DOI: 10.26863/jkarg.2023.05.29.2.189
Chul-Ki Cho, Jong-Ho Lee, Jongsoo Ahn, Wonseob Song
{"title":"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Jeju Haenyeo(Women Divers)","authors":"Chul-Ki Cho, Jong-Ho Lee, Jongsoo Ahn, Wonseob Song","doi":"10.26863/jkarg.2023.05.29.2.189","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89","url":null,"abstract":"제주도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광지로 주목받는 오늘날, 해녀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위상과 사회적 담론을 얻게 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제주 해녀를 바라보는 사회적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기 위해 제주 해녀와 관련된 신문사설을 통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 해녀를 언급하는 신문 사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분석과 콘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설 속에서 나타나는 해녀의 모습은 1) 지역의 경제주체, 2) 지역의 정치주체, 3) 항일 독립운동가, 4) 지역의 관광자원, 5) 국가의 문화유산, 6) 교류 주체(대상)의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 ‘변경에 위치한 여성노동자라는 이중적 소수자성’에 갖혀 있었던 제주 해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지역과 국가의 경제 · 정치적 의미를 넘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성과 같은 인류적 과제와 연결되는 등, 다층적인 의미들을 획득하며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제주 해녀의 상징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나타나는 지나친 대상화는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해녀의 사회적 담론이 다양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파편화되지 않도록 각 사회적 담론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36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patial Distribution of Ethnic Shops in the Old Downtown of Gimhae 金海老城区民族店铺的空间分布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Pub Date : 2023-05-31 DOI: 10.26863/jkarg.2023.05.29.2.255
Jiyoung Jeon
{"title":"Spatial Distribution of Ethnic Shops in the Old Downtown of Gimhae","authors":"Jiyoung Jeon","doi":"10.26863/jkarg.2023.05.29.2.255","DOIUrl":"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5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김해 원도심에 집중된 에스닉상점의 공간적 분포를 토지이용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지역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1990년대 이후 김해의 산업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외국인 노동자가 이주하면서 2000년대 초반부터 종로길과 회현동을 중심으로 에스닉상점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동상동, 회현동 외에도 부원동으로 에스닉 상점이 확장되었다. 특히 에스닉 음식점이 2014년 30여개에서 2020년 57개로 크게 증가하였다. 2000년대 이후 원도심 일대를 중심으로 선주민과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축제들이 개최되기 시작하였다. 2014년 김해시는 이 일대를 ‘글로벌푸드타운’이라는 하나의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에스닉상점 밀집지역을 지역의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쇠퇴하는 원도심의 지역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기대할 수 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8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0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