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vestigation of Relationality among the Future Occupation, Investment and Quality of life of graduate Students : In Case of B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title":"The Investigation of Relationality among the Future Occupation, Investment and Quality of life of graduate Students : In Case of B Univers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authors":"Kyutaeg Park","doi":"10.26863/jkarg.2023.05.29.2.20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미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B대학교에 다니는 21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세 가지 질문에 응답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의 단어 빈도와 의미연결망을 TEXTOM과 UCINET 6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중심성의 순위 차이를 비모수통계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상위층에서 하위층으로 내려가면서 중첩성이 감소되었다. 둘째, 단어의 의미연결망은 세 개의 중심성으로 분석되었다. 연결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의 분포에서 상위층의 단어는 중첩되어 있지만 하위층은 다양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중심성 단어의 순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 사이의 관계 모형을 만드는 과정과 진로 교육의 방향과 내용 및 지역 기업의 인재 채용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미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B대학교에 다니는 21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세 가지 질문에 응답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의 단어 빈도와 의미연결망을 TEXTOM과 UCINET 6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중심성의 순위 차이를 비모수통계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상위층에서 하위층으로 내려가면서 중첩성이 감소되었다. 둘째, 단어의 의미연결망은 세 개의 중심성으로 분석되었다. 연결 중심성과 근접 중심성의 분포에서 상위층의 단어는 중첩되어 있지만 하위층은 다양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중심성 단어의 순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직업, 투자 그리고 삶의 질 사이의 관계 모형을 만드는 과정과 진로 교육의 방향과 내용 및 지역 기업의 인재 채용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