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Jeju Haenyeo(Women Divers)

Chul-Ki Cho, Jong-Ho Lee, Jongsoo Ahn, Wonseob Song
{"title":"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Jeju Haenyeo(Women Divers)","authors":"Chul-Ki Cho, Jong-Ho Lee, Jongsoo Ahn, Wonseob Song","doi":"10.26863/jkarg.2023.05.29.2.189","DOIUrl":null,"url":null,"abstract":"제주도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광지로 주목받는 오늘날, 해녀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위상과 사회적 담론을 얻게 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제주 해녀를 바라보는 사회적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기 위해 제주 해녀와 관련된 신문사설을 통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 해녀를 언급하는 신문 사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분석과 콘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설 속에서 나타나는 해녀의 모습은 1) 지역의 경제주체, 2) 지역의 정치주체, 3) 항일 독립운동가, 4) 지역의 관광자원, 5) 국가의 문화유산, 6) 교류 주체(대상)의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 ‘변경에 위치한 여성노동자라는 이중적 소수자성’에 갖혀 있었던 제주 해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지역과 국가의 경제 · 정치적 의미를 넘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성과 같은 인류적 과제와 연결되는 등, 다층적인 의미들을 획득하며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제주 해녀의 상징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나타나는 지나친 대상화는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해녀의 사회적 담론이 다양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파편화되지 않도록 각 사회적 담론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제주도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광지로 주목받는 오늘날, 해녀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위상과 사회적 담론을 얻게 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제주 해녀를 바라보는 사회적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기 위해 제주 해녀와 관련된 신문사설을 통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 해녀를 언급하는 신문 사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분석과 콘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설 속에서 나타나는 해녀의 모습은 1) 지역의 경제주체, 2) 지역의 정치주체, 3) 항일 독립운동가, 4) 지역의 관광자원, 5) 국가의 문화유산, 6) 교류 주체(대상)의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 ‘변경에 위치한 여성노동자라는 이중적 소수자성’에 갖혀 있었던 제주 해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지역과 국가의 경제 · 정치적 의미를 넘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성과 같은 인류적 과제와 연결되는 등, 다층적인 의미들을 획득하며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제주 해녀의 상징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나타나는 지나친 대상화는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해녀의 사회적 담론이 다양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파편화되지 않도록 각 사회적 담론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
济州海女(女潜水员)社会话语分析
在济州岛不仅作为国内旅游胜地,还作为世界旅游胜地备受关注的今天,海女得到了与过去不同层次的地位和社会讨论。该研究为了分析在多种脉络中观察济州海女的社会讨论地形,通过与济州海女相关的报纸社论,进行了语言网络分析及内容分析。济州海女提到的报纸社论们为对象进行网络中心成分席和康大分析的结果显示,社论中出现的海女的样子1)地区的经济主体,2)地区的政治主体,3)抗日独立运动家,4)地区的旅游资源,5)维护国家文化遗产,6)交流主体(对象)的6大类可以了。通过我们过去“变更”位于“双重少数李自成被禁锢在的济州海女“谈社会对这个地区和国家的经济、政治意义超过了环境保护和可持续成果般的人类课题和连接等,多层次的意义,获得多样化而采取的行动可以确认了。但是另一方面,济州海女的象征价值上升而出现的过分的对象化是需要警惕的地方。海女的社会讨论多样化固然重要,但也需要努力使各社会讨论有机地联系起来,以免其支离破碎。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