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Urban Geographical Education : A Perspective of Critical Democratic Education","authors":"Gapcheol Kim, Hyunjong Noh","doi":"10.26863/jkarg.2023.05.29.2.231","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교육부는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 고시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민주시민성 함양’을 개정의 중점 사안으로 발표했다. 본 연구는 개정 국가교육과정의 본격적인 적용에 앞서, 민주시민교육의 핵심 행위자가 될 예비 초등교사의 민주시민교육 담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중요한 교육 목적으로서 민주시민교육, 교육 내용으로서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참고하여,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설계한 도시 수업지도안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한다. 혼합 연구를 통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도시지리수업에서 어떠한 인식론적 기술들에 의지하여 근대적 담론의 민주시민성 함양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끝으로, 대안적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인 정치성과 윤리성을 지원할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 교육 방식 및 학술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2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최근 교육부는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 고시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민주시민성 함양’을 개정의 중점 사안으로 발표했다. 본 연구는 개정 국가교육과정의 본격적인 적용에 앞서, 민주시민교육의 핵심 행위자가 될 예비 초등교사의 민주시민교육 담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중요한 교육 목적으로서 민주시민교육, 교육 내용으로서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참고하여,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설계한 도시 수업지도안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한다. 혼합 연구를 통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샘플 예비 초등교사들이 도시지리수업에서 어떠한 인식론적 기술들에 의지하여 근대적 담론의 민주시민성 함양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끝으로, 대안적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인 정치성과 윤리성을 지원할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 교육 방식 및 학술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