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Discourse Analysis of Food Geography Represented on the Australian Geography Textbook","authors":"Wonseob Song, Chul-Ki Cho","doi":"10.26863/jkarg.2023.8.29.3.3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오스트레일리아 국가지리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출판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식량지리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 것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량은 원료/자원(농산물)에서부터 가공된 식량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둘째, 식량이 자연(바이옴)과 인간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농식품지리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셋째, 식량은 식량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과정을 아우르는 식량사슬 및 식량시스템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넷째, 식량은 글로벌 식량안보와 관련하여 글로벌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다섯째, 식량은 인구성장, 기후변화, 식량안보, 경제적 복지 등 인류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식량 소비뿐만 아니라 식량 생산에 있어서의 윤리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다. 그러나 식량 선택과 식량 안전에 대해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식량을 개인의 건강 문제와 연결시키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향후 대한민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식량지리 내용을 구성할 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3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논문은 오스트레일리아 국가지리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출판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식량지리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 것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량은 원료/자원(농산물)에서부터 가공된 식량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둘째, 식량이 자연(바이옴)과 인간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농식품지리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셋째, 식량은 식량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과정을 아우르는 식량사슬 및 식량시스템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넷째, 식량은 글로벌 식량안보와 관련하여 글로벌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다섯째, 식량은 인구성장, 기후변화, 식량안보, 경제적 복지 등 인류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식량 소비뿐만 아니라 식량 생산에 있어서의 윤리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다. 그러나 식량 선택과 식량 안전에 대해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식량을 개인의 건강 문제와 연결시키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향후 대한민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식량지리 내용을 구성할 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