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大邱奉山文化街场所营销策略的场所评价","authors":"Sumin Shin, Soonho Park","doi":"10.26863/jkarg.2023.8.29.3.291","DOIUrl":null,"url":null,"abstract":"장소마케팅 전략은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특정 장소의 문화를 반영하여 목표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장소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전략에 선행되어야만 하는 장소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마케팅 대상인 장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봉산문화거리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기존 기능의 약화와 새로운 기능의 유입으로 변화를 겪고있는 봉산문화거리를 다각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대구의 문화공간 중 하나인 봉산문화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lace Evaluation for Daegu Bongsan Cultural Street\\\"s Place Marketing Stratege\",\"authors\":\"Sumin Shin, Soonho Park\",\"doi\":\"10.26863/jkarg.2023.8.29.3.291\",\"DOIUrl\":null,\"url\":null,\"abstract\":\"장소마케팅 전략은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특정 장소의 문화를 반영하여 목표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장소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전략에 선행되어야만 하는 장소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마케팅 대상인 장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봉산문화거리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기존 기능의 약화와 새로운 기능의 유입으로 변화를 겪고있는 봉산문화거리를 다각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대구의 문화공간 중 하나인 봉산문화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8.29.3.2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Place Evaluation for Daegu Bongsan Cultural Street"s Place Marketing Stratege
장소마케팅 전략은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특정 장소의 문화를 반영하여 목표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장소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전략에 선행되어야만 하는 장소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마케팅 대상인 장소를 평가하는 과정을 봉산문화거리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기존 기능의 약화와 새로운 기능의 유입으로 변화를 겪고있는 봉산문화거리를 다각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대구의 문화공간 중 하나인 봉산문화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