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Evaluation of Locational Appropriateness Priorit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Depopulated Areas : A Case of Convergence Care Facilities

Mun-Hyun Jang, Young-Jin Ahn
{"title":"Study on Evaluation of Locational Appropriateness Priorit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Depopulated Areas : A Case of Convergence Care Facilities","authors":"Mun-Hyun Jang, Young-Jin Ahn","doi":"10.26863/jkarg.2023.05.29.2.161","DOIUrl":null,"url":null,"abstract":"수도권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들은 정부의 선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역은 경제활동 위축 및 구매력 감소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시설의 수요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과 입지 적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시설 복합화와 입지 적정화가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중에서 융복합 돌봄시설의 입지 적정성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대상지는 화순군으로 관련 시설의 규모와 접근성에 기초하여 공급력을 도출하고, 인구밀도를 고려한 연령대별 수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봄시설의 공급 지수와 수요 지수를 중첩하여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1~3순위)는 시설의 수요도와 공급력의 등급 분류 및 교차분석을 통해 격자 단위로 평가하였다. 입지 우선순위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수혜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을 증진하는 후속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수도권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들은 정부의 선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역은 경제활동 위축 및 구매력 감소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시설의 수요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과 입지 적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시설 복합화와 입지 적정화가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중에서 융복합 돌봄시설의 입지 적정성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대상지는 화순군으로 관련 시설의 규모와 접근성에 기초하여 공급력을 도출하고, 인구밀도를 고려한 연령대별 수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봄시설의 공급 지수와 수요 지수를 중첩하여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1~3순위)는 시설의 수요도와 공급력의 등급 분류 및 교차분석을 통해 격자 단위로 평가하였다. 입지 우선순위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수혜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을 증진하는 후속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人口减少区基本生活基础设施区位适宜性优先评价研究——以趋同养老设施为例
首都圈的人口集中现象和地方消失的危机感正在加速。被指定为人口减少地区的地方自治团体在政府进行选择性支援的同时,正在自发地摸索克服危机的方案。人口不足的地区因经济活动萎缩及购买力减少等,会导致基础生活设施的需求和服务的质量下降。最近,作为改善生活便利设施的接近性和提高选址适当性的方案,从政策上提出了设施复合化和选址适当化。对此,本研究的最终目的是在人口减少地区的基础生活基础设施中,对融合复合照顾设施的选址适当性分析及优先顺序的评价。对象地是和顺郡,根据相关设施的规模和接近性导出供给力,考虑人口密度计算出各年龄段的需求度。在此基础上,将照顾设施的供给指数和需求指数重叠,分析了选址的适当性。选址适当性优先顺序(第1至3位)是通过设施的需求度和供给力的等级分类及交叉分析,以网格为单位进行评价。根据选址优先顺序的详细分析结果,将对制定增进地区居民基础生活服务受惠度及满意度、生活质量的后续政策做出贡献。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