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Evaluation of Locational Appropriateness Priorit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Depopulated Areas : A Case of Convergence Care Facilities
{"title":"Study on Evaluation of Locational Appropriateness Priorit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Depopulated Areas : A Case of Convergence Care Facilities","authors":"Mun-Hyun Jang, Young-Jin Ahn","doi":"10.26863/jkarg.2023.05.29.2.161","DOIUrl":null,"url":null,"abstract":"수도권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들은 정부의 선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역은 경제활동 위축 및 구매력 감소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시설의 수요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과 입지 적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시설 복합화와 입지 적정화가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중에서 융복합 돌봄시설의 입지 적정성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대상지는 화순군으로 관련 시설의 규모와 접근성에 기초하여 공급력을 도출하고, 인구밀도를 고려한 연령대별 수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봄시설의 공급 지수와 수요 지수를 중첩하여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1~3순위)는 시설의 수요도와 공급력의 등급 분류 및 교차분석을 통해 격자 단위로 평가하였다. 입지 우선순위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수혜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을 증진하는 후속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474459,"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63/jkarg.2023.05.29.2.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수도권의 인구집중 현상과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들은 정부의 선별적 지원과 함께 자발적인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역은 경제활동 위축 및 구매력 감소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시설의 수요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과 입지 적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시설 복합화와 입지 적정화가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중에서 융복합 돌봄시설의 입지 적정성 분석 및 우선순위 평가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대상지는 화순군으로 관련 시설의 규모와 접근성에 기초하여 공급력을 도출하고, 인구밀도를 고려한 연령대별 수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봄시설의 공급 지수와 수요 지수를 중첩하여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1~3순위)는 시설의 수요도와 공급력의 등급 분류 및 교차분석을 통해 격자 단위로 평가하였다. 입지 우선순위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수혜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을 증진하는 후속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