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 Analysis of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Mental Models about Coriolis Force Concept","authors":"Eun‐ju Kim, Hyundong Lee, Hyonyong Lee","doi":"10.14697/JKASE.2016.36.3.0423","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23","url":null,"abstract":"* 교신저자 : 이효녕 (hlee@knu.ac.kr) ** 본 논문은 김은주의 2011년도 박사 학위논문에서 발췌 정리하였음. http://dx.doi.org/10.14697/jkase.2016.36.3.0423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8357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소프트웨어 활용 탐구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스크래치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을 중심으로-","authors":"Yohan Hwang, Kongju Mun, Yun-Ju Park","doi":"10.14697/JKASE.2016.36.2.0325","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25","url":null,"abstract":"최근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 전략을 목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국내에서도 많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것은 정보과목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이 강화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MOE, 2015)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교육부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시하는 지를 보여준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과학교육과도 관련이 있는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교육과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센서 측정 및 출력 제어 활동은 과학교육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탐구 전략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최근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해서도 적절한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의 과학적 문제를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EPL)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사용해 해결하는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적용 전후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기 위해 컴퓨터 활용 능력 설문지를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취기준과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와 관련지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언플러그드 활동과 EPL 소프트웨어 및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활용하여 구성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컴퓨팅을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적극성, 과제집착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8495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ontent Analysis of Life Science Area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Change","authors":"Yeon-Sook Koh, Hyo-Nam Kim","doi":"10.14697/JKASE.2016.36.2.0203","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49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1560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xploration of Features of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in Middle School Science Lessons through Case Study","authors":"Youngsun Kwak","doi":"10.14697/JKASE.2016.36.2.0269","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69","url":null,"abstract":"현대는 분명 교사전문성 위기의 시대이다 .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은 끊임없이 교사의 주체성에 위협을 가하며 (Ball, 2002), 개인에 근거한 보상 정책은 교직의 사회적 자본을 약화시킨다 . 이러한 교사에 대한 도전은 개별 교사가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며 , 동료적 전문성을 충분히 발전시키는 것이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열쇠이다. 교사들이 몸담고 있는 현장에서 학습공동체를 구축하고 자신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전문성을 심화하고 조직적 역량을 배양해갈 필요가 있다 . 학습공동체는 그 구성원들이 학습의 내용과 과정을 결정하며 , 공동 참여를 통한 협동과 상호교류에 초점을 둔다. 미래형 학교교육은 학습공동체를 지향한다(Lee","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25175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Reflective Thinking in High School Argument-Based Inquiry","authors":"Seonwoo Lee, Jeonghee Nam","doi":"10.14697/JKASE.2016.36.2.0347","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47","url":null,"abstract":"2015년 9월에 발표된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면서 기본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지고 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탐구 능력 , 과학적 문제 해결력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한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 탐구과정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여 조정하는 능력으로, 이는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또한 과학적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써 논의 활동은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Sampson","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6318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Eun-Jeong Yu, K. Kim, Sun-Young Ko, Sun Kyung Jang
{"title":"Explore Vocational Ident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by Analyzing Letters Written to Myself in the Future","authors":"Eun-Jeong Yu, K. Kim, Sun-Young Ko, Sun Kyung Jang","doi":"10.14697/JKASE.2016.36.2.0253","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53","url":null,"abstract":"2013년 발표된 3차 영재교육 중장기발전계획 (Ministry of Education, 2013)에서는 수학⋅과학영역에서 벗어나 다각적인 영역에서의 영재의 발굴과 함께 영재교육 최적화를 시도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인지적인 면에서의 영재교육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의미가 포함된 영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중요시 다루어야 할 내용 중에는 진로성숙과 리더십 계발 등이 포함된다. 산업사회와 지식기반사회에서 영재교육대상자에게 행해지는 진로교육은 국가의 인적자원 관리의 필요성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또 영재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의 중요성은 연간 영재교육프로그램 진행 시수 중 진로와 관련된 수업 시수를 10% 이상 확보하라는 2013년 10월 3일 교육부가 발표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뿐만 아니라 2014학년도까지 모든 중⋅고등학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되어 학교 내에서의 진로교육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Kim","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6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8441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alysis of Makerspace User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Science Education","authors":"Moon-Kyoung Byun, M. Cho","doi":"10.14697/JKASE.2016.36.2.0337","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37","url":null,"abstract":"미래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험적 지식을 기반으로 발견한 새로운 문제를 창의적 관점에서 정의하여 구체화하는 합리적인 문제해결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가 필요하다 (Choi & Choe, 2001; Kim, 2013; Pink, 2006; Runco, 1994). 미래학자들은 2030년까지 20억 개의 일자리가 소멸하고, 현존하는 직업의 80%가 사라지며,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2025년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진다고 전망한다 (Choi & Kim, 2014; Park & Jerome, Glenn, 2014). 이렇게 급변하는 미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국민의 창의성과 , 상상력을 발현할 수 있는 문화형성 및 국가 과학기술에 대한 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Boyd, 2007). 이에 대한 해결방법의 하나로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실천적 경험을 강조하는 국가들은 과학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Son, 2014). 이는 곧 상상력⋅창의력 기반의 아이디어 창출의 기회가, 발명가 정신(Inventorship)과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을 통해 구체화 될 수 있는 혁신적 과학교육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Hwang, 2014; Kim, Byun, & Ha, 2014). 국내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주도로 과학교육에서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적 지원을 강화하고 , 해외에서는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적인 통합형 과학교육 정책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Amabile, 1996; Gardner, 2011; Kim","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9187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Narrative Inquiry on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authors":"K. Kang","doi":"10.14697/JKASE.2016.36.2.0221","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21","url":null,"abstract":"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고 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이 주목받고 있다 . 또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교사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다 . 교사의 교수 능력과 관련해 Shulman(1987)은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적 지식을 통합한 형태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강조하였다. 또한 Schőn(1983, 1987)은 반성을 통한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반성적 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또한 Feiman(1980)은 교사교육이 교사의 비판적 반성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 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들 (Richert, 1990; Valli, 1993; Zeichner, 1983)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Zeichner & Liston(1987) 은 이제까지의 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성장을 방해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충분히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관련하여 포트폴리오 활용은 학습자의 특성을 발견하고 학습활동이나 성장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 포트폴리오는 흔히 주어진 영역에서 학습자의 관심, 능력, 진도, 성취를 파악할 수 있는 의도적 자료모음집으로 정의되고 있다(Winsor & Ellefson, 1996). 특히 학습 성과물 모음집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험 준비자료로서도 기능하고 학업의 전체 과정을 성찰하게 한다(Park & Bae, 2008). 또한 학습 포트폴리오는 개인의 학습 과정과 학습 성과를 연결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Takona & Wilburn, 2004).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비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포트폴리오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하는 등의 활동들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지닌다 . 특히 포트폴리오 적용의 장점으로 학습자의 학습목표 설정을 격려하고, 학습 흥미와 자신감을 높이는 점 등이 있다 (Cho, 2001: Stone, 1998). 특히 포트폴리오는 학습자의 내적 사고를 촉진하고 자기평가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roll","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7756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xploring the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of 3 rd 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chose different college majors from their track","authors":"M. Ha, Sein Shin, Jun-Ki Lee","doi":"10.14697/JKASE.2016.36.2.0317","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17","url":null,"abstract":"지난 10년간 우리 과학교육계는 이공계 위기, 이공계 기피, 이과의 몰락 등의 용어에 익숙해져서 지내왔다 .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가속화된 이공계 위기는 학생들의 고교계열 선택을 그 시작점으로 대학 이공계 학과의 미달로 인한 과학기술인의 처우 문제 등 많은 사회 이슈들에 대한 담론을 양산해 내었다 . 실제로 1995년부터 7년간에 걸쳐 대학수학능력시험 자연계열 응시자의 수는 42.6%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결국 2001년에는 1995년의 절반 수준인 26.9%에까지 이르면서 2000년대에 들어 제2차 이공계 위기라는 절망적인 제목의 신문기사들을 수시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Lee, Kim, & Heo, 2001). 그러나 최근 들어 산업구조 변화와 취업문제 등으로 인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이과계열","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2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1786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aehee Noh, Jaewon Lee, Chanho Yang, Sukjin Kang, Hunsik Kang
{"title":"Investigation of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authors":"Taehee Noh, Jaewon Lee, Chanho Yang, Sukjin Kang, Hunsik Kang","doi":"10.14697/JKASE.2016.36.2.0295","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95","url":null,"abstract":"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learning progression focusing on 5 th to 9 th graders’ performances with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using the construct modeling approach. We designed a construct map describing hypothetical pathways of the concept development of dissolution and solution by analyzing bo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and related studies. A conceptions test consist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826 students. A revised construct map was derived from analyses of the results based on the partial credit model, a branch of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The sequence of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was found to correspond with the learning progression of the students. However, the lower anchor, the concept of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levels of the construct map. After revising the construct map, we proposed a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with five levels: Students of level 1 (the lower anchor) recognize the particles in the solution but misunderstand various concepts; Students of level 2 understand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Students of level 3 understand solubility and the conservation of particles during dissolution; Students of level 4 partial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Students of level 5 (the upper anchor)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6950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