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学生评价活动对高中议论文探究反思性思维的影响","authors":"Seonwoo Lee, Jeonghee Nam","doi":"10.14697/JKASE.2016.36.2.0347","DOIUrl":null,"url":null,"abstract":"2015년 9월에 발표된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면서 기본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지고 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탐구 능력 , 과학적 문제 해결력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한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 탐구과정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여 조정하는 능력으로, 이는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또한 과학적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써 논의 활동은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Sampson","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Reflective Thinking in High School Argument-Based Inquiry\",\"authors\":\"Seonwoo Lee, Jeonghee Nam\",\"doi\":\"10.14697/JKASE.2016.36.2.0347\",\"DOIUrl\":null,\"url\":null,\"abstract\":\"2015년 9월에 발표된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면서 기본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지고 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탐구 능력 , 과학적 문제 해결력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한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 탐구과정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여 조정하는 능력으로, 이는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또한 과학적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써 논의 활동은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Sampson\",\"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在2015年9月发表的修订的科学教育课程中,强调以多样的探索为中心的学习,对基本概念有综合的理解,通过探索经验的科学思考能力、科学探索能力、科学问题解决能力、科学沟通能力;追求培养科学参与和终身学习能力等科学和核心力量的教育(Ministry of education, 2015)。科学探究过程中重视沟通能力是科学解决问题的科学共同体内部共享过程和结果,并主张为了发展自己的想法,理解他人的想法,调整的能力中心,这是探究的学习中心的实现上,学生应该具备的核心力量(ministry of education, 2015)。另外,作为科学的沟通方式,讨论活动可以提高学生对科学概念的理解力(Sampson)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Reflective Thinking in High School Argument-Based Inquiry
2015년 9월에 발표된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면서 기본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지고 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탐구 능력 , 과학적 문제 해결력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추구한다 (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 탐구과정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여 조정하는 능력으로, 이는 탐구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또한 과학적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써 논의 활동은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Samp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