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科学博物馆游戏-学习模式的发展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4-30 DOI: 10.14697/JKASE.2016.36.2.0191
Yi-Young Kwon, Eunkyung Jeong
{"title":"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authors":"Yi-Young Kwon, Eunkyung Jeong","doi":"10.14697/JKASE.2016.36.2.0191","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191","url":null,"abstract":"과학관은 비형식 과학 교육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과학박물관(Science Museum)과 과학센터(Science Center)를 포함한다. 과학박물관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과학센터는 과학기술의 원리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중시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유럽과 미국에서는 과학관을 과학박물관과 과학센터로 분리된 개념으로 보기도 하지만 과학관의 태생적인 본성을 고려할 때 과학관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과학관의 목표는 교육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Friedman, 2010). 과학관 교육은 과학관 고유의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는 목적과 역할이 다른데 (Wertsch, 2002), 과학관 교육의 목적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서의 정의를 고려할 때 박물관 교육에서 그 방향을 찾을 수 있다 . Piscitelli & Weier(2002)에 의하면 박물관 교육의 목적은 교육하기 (Educate), 참여하기(Engage), 즐기기(Entertain)로 정의할 수 있다.이러한 목적 아래 이루어지는 과학관 교육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다 . 인지적 영역 측면에서 과학관 교육은 광범위한 아이디어나 개념보다 사실이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학습자가 인지하고 있던 학습 개념과 이론적 이해를 증가시킨다 . 여러 가지 전시물을 접하면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 때로는 과학 용어를 미리 앞서서 제시하기도 한다 . 그리고 과학관 교육에서 학생과 연관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잠재적으로 학생에게 영향을 준다(Cox-Petersen","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5899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Infographic Instruction to Promote Elementary Students' Use of Scientific Model 信息图表教学对促进小学生科学模型运用的效果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4-30 DOI: 10.14697/JKASE.2016.36.2.0279
J. Jung, Young-min Kim
{"title":"Effect of Infographic Instruction to Promote Elementary Students' Use of Scientific Model","authors":"J. Jung, Young-min Kim","doi":"10.14697/JKASE.2016.36.2.0279","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79","url":null,"abstract":"., 2008). 그리고 과학자들은 다양한 기호 , 그래프, 구조화된 그림 등의 다양한 특징을 이용한 체계적인 표상을 이용하여 추상적인 이론이나 실험 결과, 중요한 과학적 사건을 나타내거나 예측한다(Gilbert, 2004; Gilbert & Boulter, 2000). 역사적으로 Rutherford의 원자 모형 , 액체의 압력과 흐름을 이용하여 나타낸 Volta와 Ampere의 전기 모형 등은 잘 알려진 과학적 모형들이다 (Stavy, 1991). 과학 교육 측면에서 볼 때에도 과학자들의 과학적 연구 결과나 업적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과학적 모델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많은 과학교육자들이 주장하였고 (Clement, 2008; Gilbert, 2004), 과학적 모델 사용에 대한 가치는 오래전부터 강조 하고 있다(Boulter, 2000; Coll & Lajium, 2011; Harlow","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7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1745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Contextualized Nature of Technology in Socioscientific Issues 社会科学问题中技术的语境化性质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4-30 DOI: 10.14697/JKASE.2016.36.2.0303
Hyunok Lee, Hyunju Lee
{"title":"Contextualized Nature of Technology in Socioscientific Issues","authors":"Hyunok Lee, Hyunju Lee","doi":"10.14697/JKASE.2016.36.2.0303","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03","url":null,"abstract":"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에 대한 담화에 참여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역량은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 중 하나이다(AAAS, 1990; NRC, 2012; Roberts & Bybee, 2014; Zeidler, 2014). 이에, 지난 십여 년간 여러 과학교육 학자들이 학생들의 SSI 추론 과정을 탐색하고 ,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왔다(Sadler & Zeidler, 2004, 2005; Zeidler, Walker, Ackett, & Simmons, 2002). 그 중, 일부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이하 NOS)에 대한 이해 정도와 SSI 추론의 관계를 탐색했는데(Khishfe, 2012; Sadler, Chambers, & Zeidler, 2004), 그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은 다소 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그러나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SSI 추론 내용을 살펴보면 NOS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으로 드러나거나 명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Bell, & Lederman, 2003; Eastwood","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403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Explor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Display Rules, and Controlling Strategies During Teaching Practice 职前科学教师在教学实践中的情绪体验、表现规律及控制策略探讨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4-30 DOI: 10.14697/JKASE.2016.36.2.0231
Heekyong Kim*, Narea Lee
{"title":"Explor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Display Rules, and Controlling Strategies During Teaching Practice","authors":"Heekyong Kim*, Narea Lee","doi":"10.14697/JKASE.2016.36.2.0231","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31","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2646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in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nd Consequential Validity 小学地球运动与太阳系学习进阶的验证:以建构效度与结果效度为中心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177
이기영, 맹승호,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
{"title":"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in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nd Consequential Validity","authors":"이기영, 맹승호,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doi":"10.14697/JKASE.2016.36.1.0177","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77","url":null,"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validity. One is construct validity, that is whether a hypothetical pathway derived from our study of LPs is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of children`s substantive development. The other is consequential validity, which refers to the impact of LP-based adaptive instruction on children`s improved learning outcomes. For this purpose, 373 fifth-grade students and 17 teacher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angwon province, and Gwangju participated. We designed LP-based adaptive instruction modules delving into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s.` We also employed 13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nd analyzed the transitions of children`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64 %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hypothetical pathways. Rasch analysis also supports this results. For testing consequential validity, the analysis of covaria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vealed that the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1541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Shown in Designing an Experiment: Focusing on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Epistemic Considerations for Activities 探索实验设计中的小组论证:关注学生的认知目标和对活动的认知考虑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045
Jihyun Kwon, Heui-baik Kim
{"title":"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Shown in Designing an Experiment: Focusing on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Epistemic Considerations for Activities","authors":"Jihyun Kwon, Heui-baik Kim","doi":"10.14697/JKASE.2016.36.1.0045","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45","url":null,"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considerations in designing an experiment task and to investigate how a shift in the students` epistemology affected their argumentation. Four 7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a focus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y designed their own experiment, their epistemic goal was `scientific sense-making` and their epistemic considerations - the perception of the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t was `this experiment should explain how something happened`,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was `we need to use our interpretation of the data` and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was `constructor` - contributed to designing their experiment actively. When students tried to select one argument, their epistemic goal shifted to `winning a debate`, showing `my experiment is better than the others` with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competitor`. Consequently, students only deprecated the limits of different experiment so that they did not explore the meaning of each experiment design deeply. Eventually, student A`s experiment design was selected due to time restrictions. When they elaborated upon their result, their epistemic goal shifted to `scientific sensemaking`, reviewing `how this experiment design is scientifically valid` through scientific justification - we need justification to make members accept it - acting as `cooperator`. Consequently, all members engaged in a productive argumentation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result.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 on understanding students` epistemic goals and considerations to prompt productive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1140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The Attitudes and Ima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Invention 中学生对发明的态度与形象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063
김기열, 함형인
{"title":"The Attitudes and Ima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Invention","authors":"김기열, 함형인","doi":"10.14697/JKASE.2016.36.1.0063","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63","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갖고 있는 발명에 대한 태도 및 이미지를 세부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구명하고, 발명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은 초등학생 보다 발명에 대한 태도에서는 정서적 태도 및 관심적 태도 수준이 높았으며, 발명에 대한 이미지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반면 발명은 어려운(M=3.70) 것으로 느끼고 있다. 둘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전체적인 발명에 대한 태도는 초등학교에서 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일관된 발명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초등학교 시기의 발명에 대한 태도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전체적인 발명 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p 0.05). 학년에 따른 태도에 대한 요인별 순위를 살펴보면 전학년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관심적 태도, 실천적 태도 순인 것으로 나타난다. 중학교에서는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편제상 발명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부족하여 모든 학년이 발명의 태도에서 같은 순위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중학생의 학년에 따른 전체적인 발명 이미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중학교에서 부터 학습에 관한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이 '발명'하면 떠올리는 단어를 분석한 결과, 발명의 행위로는 아이디어, 만들기, 상상력, 창의력 등을 중요하게 여겼다. 발명이 기여하는 바로는 새로운 제품 개발, 편리한 삶 제공, 사회적 발전, 실제생활에 유용한 것, 불편함 개선 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ttitudes and ima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invention. This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qualitative improvement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emotion and interest attitude toward invention i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mage of invention is positive but difficult (M=3.70). Second, as the overall attitude to invention according to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a consistent invention attitude, the attitude formation on invention during elementary school time is found to be important. The overall image of invention according to gender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p 0.05). As for the ranking according to factors on attitude depending on grades, cognitive attitude is followed by emotional attitude, attitude of interest, and practical attitude. The overall image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does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is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large pressure acting on the study from middle school. Finally, the acts of invention such as idea, creation, imagination, creativit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words of the invention. Invention is analyz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new products, providing convenience in life, social development, usefulness in real life, and alleviating inconvenience.】","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1944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The Change in Model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科学模型协同构建对理科资优学生建模能力的影响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015
박희경, 최종림, 김찬종, 김희백, 유준희, 장신호, 최승언
{"title":"The Change in Model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authors":"박희경, 최종림, 김찬종, 김희백, 유준희, 장신호, 최승언","doi":"10.14697/JKASE.2016.36.1.0015","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1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 변화를 ‘모델과 모델링에 관한 인식’과 ‘모델링 실행’의 두 측면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천문학 내용과 관련하여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전과 후에 각각 모델링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검사 결과 학생들의 ‘모델과 모델링에 관한 인식’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통해 더 진보된 관점으로 변화하였다. 학생들은 사회적 구성 활동을 통해 모델을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있다는 것과, 하나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복수의 과학적 모델이 존재하며, 과학적 모델이 변화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학생들의 ‘모델링 실행’의 변화는 사전과 사후의 수준 변화에 따라 4 가지유형(모델링 수준 상승 유형, 모델링 수준 하강 유형, 높은 수준 유지유형, 낮은 수준 유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구성 수업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의 ‘모델링 실행’ 수준이 상승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모델을 다른 모델과 비교하고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사회적 구성 활동에 영향을 받은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의 학생들은 오히려 ‘모델링 실행’ 수준이 내려가거나 변화가 없었다. 이 학생들의 학교 과학 성적은 비교적 우수했으며, 정확한 정답을 찾아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는 것을 학습의 목표로 여기고 있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길들여진 학생들이 증거를 기반으로 지식을 구성해가는 과정을 중시하는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 방식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것을 말해준다.","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9079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 描述性测验行为域的内容效度及影响内容效度的因素分析——以五、六年级科学为例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087
Jung-In Choi, Seoung-Hey Paik
{"title":"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authors":"Jung-In Choi, Seoung-Hey Paik","doi":"10.14697/JKASE.2016.36.1.0087","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87","url":null,"abstract":"국가의 경쟁력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적 자원에 있다 .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창의성의 함양이 미래 사회에서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과 직결됨을 인식하고 ,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으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 역시 창의성 신장을 학교교육의 핵심으로 삼고 있음을 교육과정에서 천명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임을 규정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09). 이와 더불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알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 ’이 과학교육의 목표임을 밝히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12).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바가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 신장이라면, 그 성과를 가늠하는 것이 교육 평가이다 . Tyler(1949)는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나 실현되었는지 밝히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했다. 이에 비추어보면 과학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이라는 과학과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평가를 통해 점검하는 것은 학생 그리고 교육과정 및 교수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 교육 평가는 학습자의 행동변화 및 학습과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학습의 극대화를 위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Kim & Kang, 2010). 그러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다형으로 대표되는 선택형 문항 등과 같은 평가도구로는 불충분하다 . 선택형 평가문항들은 기존의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서술형 평가는 단순한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 구체적인 부가 가치 창출능력, 수행 능력, 실천적 지능이 중요해진 현대 사회의 인재 육성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Yang, 2006). 범교과적인 수준 및 과학교과의 수준에서 서술형 평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 상황을 논리적으로 분석, 설명, 해석하거나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Kim","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8224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Developing and Assess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Ecosystem 开发和评估生态系统的学习进程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ub Date : 2016-02-29 DOI: 10.14697/JKASE.2016.36.1.0029
Chaeyeong Yeo, Hyonyong Lee
{"title":"Developing and Assess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Ecosystem","authors":"Chaeyeong Yeo, Hyonyong Lee","doi":"10.14697/JKASE.2016.36.1.0029","DOIUrl":"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29","url":null,"abstract":"미국과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과학의 학문 내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변화가 학습발달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학습발달과정은 과학의 핵심 개념과 과학적 활동과정을 논리적이며 단계적으로 정교하게 기술한 틀로서 학생이 학습하는 동안 연속적이며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가는 이해의 과정을 설명한다. 미국의 차세대과학기준(NGSS)에서 제시한 생명과학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생태계에 관하여 학습발달과정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개발절차를 Development, Assessment, Analysis, Amendment의 네 단계로 설정하고 순차적이며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생태계에 관한 학습발달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의 분석 결과 학습발달과정에 기반을 둔 평가는 학생의 능력을 파악하는데 신뢰할 수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발달과정의 개발 과정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핵심 성취기준을 이용한 Framework의 개발, OMC 문항 형식과 Rasch 모델을 이용한 평가와 분석 과정을 제안한다. 또한 경험적으로 검증된 학습발달과정을 이용하여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가 연계된 교육과정 강화 방안을 제안한다. 국내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학습발달과정 개발 절차를 활용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개발에 수월성을 제공하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의 적용으로 교육과정의 표준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8875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