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authors":"Yi-Young Kwon, Eunkyung Jeong","doi":"10.14697/JKASE.2016.36.2.0191","DOIUrl":null,"url":null,"abstract":"과학관은 비형식 과학 교육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과학박물관(Science Museum)과 과학센터(Science Center)를 포함한다. 과학박물관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과학센터는 과학기술의 원리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중시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유럽과 미국에서는 과학관을 과학박물관과 과학센터로 분리된 개념으로 보기도 하지만 과학관의 태생적인 본성을 고려할 때 과학관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과학관의 목표는 교육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Friedman, 2010). 과학관 교육은 과학관 고유의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는 목적과 역할이 다른데 (Wertsch, 2002), 과학관 교육의 목적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서의 정의를 고려할 때 박물관 교육에서 그 방향을 찾을 수 있다 . Piscitelli & Weier(2002)에 의하면 박물관 교육의 목적은 교육하기 (Educate), 참여하기(Engage), 즐기기(Entertain)로 정의할 수 있다.이러한 목적 아래 이루어지는 과학관 교육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다 . 인지적 영역 측면에서 과학관 교육은 광범위한 아이디어나 개념보다 사실이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학습자가 인지하고 있던 학습 개념과 이론적 이해를 증가시킨다 . 여러 가지 전시물을 접하면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 때로는 과학 용어를 미리 앞서서 제시하기도 한다 . 그리고 과학관 교육에서 학생과 연관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잠재적으로 학생에게 영향을 준다(Cox-Petersen","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1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과학관은 비형식 과학 교육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과학박물관(Science Museum)과 과학센터(Science Center)를 포함한다. 과학박물관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과학센터는 과학기술의 원리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중시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유럽과 미국에서는 과학관을 과학박물관과 과학센터로 분리된 개념으로 보기도 하지만 과학관의 태생적인 본성을 고려할 때 과학관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과학관의 목표는 교육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Friedman, 2010). 과학관 교육은 과학관 고유의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는 목적과 역할이 다른데 (Wertsch, 2002), 과학관 교육의 목적은 과학전문박물관으로서의 정의를 고려할 때 박물관 교육에서 그 방향을 찾을 수 있다 . Piscitelli & Weier(2002)에 의하면 박물관 교육의 목적은 교육하기 (Educate), 참여하기(Engage), 즐기기(Entertain)로 정의할 수 있다.이러한 목적 아래 이루어지는 과학관 교육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다 . 인지적 영역 측면에서 과학관 교육은 광범위한 아이디어나 개념보다 사실이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학습자가 인지하고 있던 학습 개념과 이론적 이해를 증가시킨다 . 여러 가지 전시물을 접하면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 때로는 과학 용어를 미리 앞서서 제시하기도 한다 . 그리고 과학관 교육에서 학생과 연관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잠재적으로 학생에게 영향을 준다(Cox-Peter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