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ntextualized Nature of Technology in Socioscientific Issues","authors":"Hyunok Lee, Hyunju Lee","doi":"10.14697/JKASE.2016.36.2.0303","DOIUrl":null,"url":null,"abstract":"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에 대한 담화에 참여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역량은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 중 하나이다(AAAS, 1990; NRC, 2012; Roberts & Bybee, 2014; Zeidler, 2014). 이에, 지난 십여 년간 여러 과학교육 학자들이 학생들의 SSI 추론 과정을 탐색하고 ,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왔다(Sadler & Zeidler, 2004, 2005; Zeidler, Walker, Ackett, & Simmons, 2002). 그 중, 일부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이하 NOS)에 대한 이해 정도와 SSI 추론의 관계를 탐색했는데(Khishfe, 2012; Sadler, Chambers, & Zeidler, 2004), 그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은 다소 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그러나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SSI 추론 내용을 살펴보면 NOS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으로 드러나거나 명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Bell, & Lederman, 2003; Eastwood","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에 대한 담화에 참여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역량은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 중 하나이다(AAAS, 1990; NRC, 2012; Roberts & Bybee, 2014; Zeidler, 2014). 이에, 지난 십여 년간 여러 과학교육 학자들이 학생들의 SSI 추론 과정을 탐색하고 ,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왔다(Sadler & Zeidler, 2004, 2005; Zeidler, Walker, Ackett, & Simmons, 2002). 그 중, 일부 연구자들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이하 NOS)에 대한 이해 정도와 SSI 추론의 관계를 탐색했는데(Khishfe, 2012; Sadler, Chambers, & Zeidler, 2004), 그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은 다소 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그러나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SSI 추론 내용을 살펴보면 NOS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으로 드러나거나 명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Bell, & Lederman, 2003; East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