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

Jung-In Choi, Seoung-Hey Paik
{"title":"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Domain of Descriptive Tests and Factors that Affect Content Validity: Focus on the Fifth and Sixth Grade Science","authors":"Jung-In Choi, Seoung-Hey Paik","doi":"10.14697/JKASE.2016.36.1.0087","DOIUrl":null,"url":null,"abstract":"국가의 경쟁력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적 자원에 있다 .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창의성의 함양이 미래 사회에서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과 직결됨을 인식하고 ,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으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 역시 창의성 신장을 학교교육의 핵심으로 삼고 있음을 교육과정에서 천명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임을 규정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09). 이와 더불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알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 ’이 과학교육의 목표임을 밝히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12).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바가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 신장이라면, 그 성과를 가늠하는 것이 교육 평가이다 . Tyler(1949)는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나 실현되었는지 밝히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했다. 이에 비추어보면 과학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이라는 과학과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평가를 통해 점검하는 것은 학생 그리고 교육과정 및 교수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 교육 평가는 학습자의 행동변화 및 학습과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학습의 극대화를 위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Kim & Kang, 2010). 그러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다형으로 대표되는 선택형 문항 등과 같은 평가도구로는 불충분하다 . 선택형 평가문항들은 기존의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서술형 평가는 단순한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 구체적인 부가 가치 창출능력, 수행 능력, 실천적 지능이 중요해진 현대 사회의 인재 육성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Yang, 2006). 범교과적인 수준 및 과학교과의 수준에서 서술형 평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 상황을 논리적으로 분석, 설명, 해석하거나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Kim","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bstract

국가의 경쟁력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적 자원에 있다 .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창의성의 함양이 미래 사회에서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과 직결됨을 인식하고 ,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으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 역시 창의성 신장을 학교교육의 핵심으로 삼고 있음을 교육과정에서 천명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임을 규정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09). 이와 더불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알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 ’이 과학교육의 목표임을 밝히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12).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바가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 신장이라면, 그 성과를 가늠하는 것이 교육 평가이다 . Tyler(1949)는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나 실현되었는지 밝히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했다. 이에 비추어보면 과학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이라는 과학과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평가를 통해 점검하는 것은 학생 그리고 교육과정 및 교수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 교육 평가는 학습자의 행동변화 및 학습과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학습의 극대화를 위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Kim & Kang, 2010). 그러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다형으로 대표되는 선택형 문항 등과 같은 평가도구로는 불충분하다 . 선택형 평가문항들은 기존의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사고능력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서술형 평가는 단순한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 구체적인 부가 가치 창출능력, 수행 능력, 실천적 지능이 중요해진 현대 사회의 인재 육성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Yang, 2006). 범교과적인 수준 및 과학교과의 수준에서 서술형 평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 상황을 논리적으로 분석, 설명, 해석하거나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Kim
描述性测验行为域的内容效度及影响内容效度的因素分析——以五、六年级科学为例
国家的竞争力在于具有创意性问题解决能力的人力资源。因此,世界各国认识到创意性的涵养在未来社会直接关系到个人和国家的竞争力,并为提高学生的创意性,决定未来教育的方向。在教育过程中阐明,我国也将提高创意性作为学校教育的核心。2009修改教育追求的正义总论在我们人类思想,在《基础能力的基础上,以新的思路和挑战发挥首创精神的人”的规定,有创意的人才能养教育课程组成的方针,提示着(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09)。与此同时,2009年修订的科学和教育课程也表明了“培养科学思考能力和创意性问题解决能力,培养能够解决日常生活问题的科学素养”是科学教育的目标(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2012)。如果说教育课程追求的是提高创意性、问题解决能力等高等思考能力,那么衡量其成果就是教育评价。Tyler(1949年)说:“评估的过程实质上是通过教育课程和课程项目来阐明教育目标实际实现了多少的过程。”。与此相比,通过评价来检验“提高科学思考能力及创意性问题解决能力”这一科学专业的目标达到了什么程度,将成为提高学生、教育课程及教授课程质量的重要基础。因为教育评价可以收集学习者的行动变化及学习过程相关的信息,并将其结果利用在学习的极大化上(Kim & Kang, 2010)。但是,要想评价创意性问题解决能力等高等思考能力,以选择型为代表的选择型问题等评价工具是不够的。因为选择型评价问题有助于测定单纯记住和再生现有知识的能力,而且在评价创意性、问题解决能力等高等思考能力方面存在局限性。作为应对方案提出的叙述型评价可以说是摆脱单纯背诵知识的模式,为培养具体的附加价值创造能力、执行能力、实践智能变得重要的现代社会人才而备受关注的评价方法(Yang, 2006)。从泛教科水平及科学课程水平来看叙述型评价的定义来看,“评价是利用学生已经知道的知识,用逻辑分析、说明、解释或创意性地解决问题的能力”(Kim)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