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clusion Education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authors":"Jaesup Jin, Jongnam Baek","doi":"10.21214/kecse.2023.23.3.171","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7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 적용으로 인한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질적연구물 7편을 대상으로 탐색을 실행하였으며, Nobit과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변화에 대한 도전, 어려움과 한계’,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행동의 변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 나타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성공적인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해 기관의 구성원 및 사회의 구성원들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한 자료 제공 및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실행 경험에 대한 데이터 축적 및 평가과정이 요구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유아특수교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질적 연구물들을 종합적인 시각으로 살펴보고,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42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Teachers belonging to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authors":"Sooyeon Lee, Sunghyun Bae","doi":"10.21214/kecse.2023.23.3.22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25","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기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유아특수교사 6인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는 총 5차의 범주화 작업을 통해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질적분석 결과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과 변화과정에서 추출된 주제는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다양한 생각 둘째,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셋째, 유아특수교사로서 성장의 계기가 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3가지였으며, 8개의 하위주제와 2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 현장에서 내실화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율적이고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운영 방안과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경험을 모색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42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Research Synthesis of Current Domestic Multicultural and Anti-bias Studies for Young Children: 2013-March, 2023","authors":"Taeyoung Kim","doi":"10.21214/kecse.2023.23.3.27","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서 2023년 3월까지 영유아 대상 다문화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대상 연구는 총 146편으로 연도별 학술지, 연구 참여자, 연구방법, 연구 주제 등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학술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학논집」(17.8%)과「열린유아교육연구」(17.1%)에 게재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2013년에 21.9%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2017년부터 관련 주제 논문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최근 2021년과 2022년에 급격히 줄어들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동향분석 결과, 교육전문가의 참여가 41.1%로 가장 많았으며 유아 참여는 전체 28.1%였는데, 그중 혼합연령과 만 5세 유아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 동향 결과, 조사연구(37.0%)와 질적 연구(23.3%)를 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로는 유아발달(17.8%)과 다문화 교육(15.8%)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27편)의 독립 및 종속변인과 기타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육(44.4%)과 그림책 활용 활동(33.3%)이 독립변인으로, 다문화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이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중재충실도나 사회적 타당도와 같은 기타 결과는 단 두편의 논문에서만 측정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증거 기반의 연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실험연구에서 중재충실도나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4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Validity and Reliability of Development of Working Memory Tes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authors":"Ji Eun Choi, Hyo Jin Koo","doi":"10.21214/kecse.2023.23.2.87","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8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작업기억 측정과 관련된 검사 도구 개발 및 해당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편의군집표집된 총 137명(비장애유아 85명, 발달지체유아 52명)의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 통과율을 기초로 총 7개 하위과제(숫자 따라말하기, 단어 따라말하기, 무의미음절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색칠하기, 셈하여 회상하기, 읽고 회상하기)와 24개의 문항을 개발한 후 검사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 a는 .77-.87,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7-.94로 유의미한 상관이 보고되었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산출된 총점 및 요인 간 상관계수는 .54-.94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유아 작업기억 검사도구의 학문적 의의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Validity and reliability for a social emotional curriculum base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authors":"Kay-Heoung Heo, Eun-Hee Ma, Seo-Young Song, Hee-Soo Lim","doi":"10.21214/kecse.2023.23.2.109","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0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예비도구를 사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그리고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36개월 이상 유아 715명과 이들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항적합도 및 난이도 분석, 내용타당도 구축, 상관분석 및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신뢰도는 내적 신뢰도, 재검사 신뢰도, 그리고 부모-교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셋째, 절선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놀이 및 사회적 기술, 사회적 문제해결, 관심 및 활동 참여, 일과 및 규칙, 자기주도, 자존감, 정서인식 및 표현’의 8요인, 총 117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현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제시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Special Classes and Kindergarten in Special School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authors":"Hyun Sook Kim, Eun Suk Hong, Gye Shin Park","doi":"10.21214/kecse.2023.23.2.1","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 이후 변화된 유치원과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향후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질적 실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명의 유아특수교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이후 협의를 통한 열린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자의 적극적인 장학지도가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체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와 놀이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나 여전히 과거 교육과정이나 보여주기식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고수하거나 교사의 자율적 운영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필요한 더욱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관리자와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in Multicultural Families","authors":"Sohyun An, Byoungin Lee, Sunghyun Bae","doi":"10.21214/kecse.2023.23.2.2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2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지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지도하고 있는 4명의 교사를 개별 심층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이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 관계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거듭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지도하며 언어발달지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동료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 가정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현실적인 가족지원, 교사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Discus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authors":"Gye Shin Park, Taeyoung Kim","doi":"10.21214/kecse.2023.23.2.15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5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화와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지원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부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이 종료된 2022년까지 총15년 동안의 유아특수교육 현황을 시계열적 데이터로 제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연차보고서」, 「특수교육통계」, 「교육통계연보」 등의 자료에 담긴 유아특수교육현황 관련 통계 자료를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영유아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학령기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대비했을 때도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 설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특수학교, 유치원 전일제 통합학급, 유치원 특수학급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장애전문어린이집이나 통합어린이집에 비해 일반 어린이집 취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육기관 재정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액이 증가하였고, 사립유치원 지원액이 공립유치원 지원액의 3배 정도 높았다. 유아특수교육비는 15년간 4.65배로 증가하여 특수교육비(2.99 증가배수)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awarenes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 Kim Eun Kyeong․Eunyoung Grace Jung․Sangsu Ba다","authors":"Eun Kyeong Kim, Grace Jung Eunyoung, Sangsu Baek","doi":"10.21214/kecse.2023.23.2.131","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3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K도 공립유치원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한 일반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시간 및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특수교육연수 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 관련 연수는 전반적 교사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통합교육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유아교사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표본 확대를 통한 연구 및 교사 효능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s of Power Card Strategy and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s (DRO) on the Task-Avoidance Behaviors of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authors":"Youngmo Kang, Wookyum Kim, Seung Hyun Son","doi":"10.21214/kecse.2023.23.2.5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5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가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4세 유아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치료 활동 중 유아가 나타내는 과제회피행동에 대한 파워카드전략의 중재 효과와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기초선(A)과 중재(B)의 비교, 단일 중재(B)와 혼합 중재(BC)의 비교를 통해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다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치료실과 가정에서 감각통합치료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녹화한 뒤 40초 부분-동간기록법으로 발생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적 분석을 실시하는 동시에 Tau-U를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전략은 과제회피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함께 적용했을 때 중재 효과는 더욱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활용한다면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3684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