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Special Classes and Kindergarten in Special School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Hyun Sook Kim, Eun Suk Hong, Gye Shin Park
{"title":"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Special Classes and Kindergarten in Special School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authors":"Hyun Sook Kim, Eun Suk Hong, Gye Shin Park","doi":"10.21214/kecse.2023.23.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 이후 변화된 유치원과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향후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질적 실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명의 유아특수교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이후 협의를 통한 열린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자의 적극적인 장학지도가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체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와 놀이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나 여전히 과거 교육과정이나 보여주기식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고수하거나 교사의 자율적 운영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필요한 더욱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관리자와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 이후 변화된 유치원과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향후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질적 실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명의 유아특수교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이후 협의를 통한 열린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자의 적극적인 장학지도가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체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와 놀이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나 여전히 과거 교육과정이나 보여주기식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고수하거나 교사의 자율적 운영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필요한 더욱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관리자와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
基于2019年Nuri课程修订版实施的幼儿园特殊班和幼儿园特殊学校教师组织文化感知研究
本研究的目的是观察适用《2019修订享受课程》后发生变化的幼儿园和特殊学校组织文化,并为今后实现《2019修订享受课程》的质量,提出组织文化改善方案。为此,与11名幼儿特殊教师进行了焦点小组面谈,面谈结果导出了3个主题、6个下位范畴、14个概念。具体研究结果如下。第一,《2019修订享受过程》适用以后通过协议开放的教育课程,运营和管理人员积极奖学指导被激活了,这种变化通过特殊教育幼儿,包括所有幼儿为对象运营的优质教育课程体系的变化经验了。在此基础上,形成了包括特殊教育对象幼儿在内的所有幼儿教育课程实行的基础。第二,幼儿特殊教师把重点放在支持特殊教育对象幼儿的游戏和游戏行动的发展上,对特殊教育对象幼儿的游戏有了肯定的认识。第三,虽然适用《2019修订享受课程》,教育现场也发生了积极的变化,但仍然存在固守过去教育课程或展示式教育课程运营方法或不信任教师自主运营的倾向。为了形成有效运营《2019修订享受课程》所必需的更加积极的组织文化,提出了强化管理者和幼儿特殊教师力量的必要性。以研究结果为基础,作为“为所有人的教育课程”,讨论了《2019修订享受课程》的运营方案。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