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a teugsu gyoyug yeon'gu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The Effects of Classwide Peer Mediation Using Play Preference on Young Children’s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基于游戏偏好的班级同伴调解对残疾儿童社会接受及残疾儿童同伴互动的影响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123
YeSeul Lee
{"title":"The Effects of Classwide Peer Mediation Using Play Preference on Young Children’s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authors":"YeSeul Lee","doi":"10.21214/kecse.2023.23.3.12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2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완전통합 2학급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참여하였다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는 중재 전에 학급의 모든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관찰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회기의 또래 교육(대집단)과 15회기의 또래 놀이(소집단)로 구성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를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는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는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장애 유아 또래 상호작용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통합환경에서 실시한 유아의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교육 현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Picture Book-Based Digital Edutainment Content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 “基于绘本的数字寓教于乐内容的残疾理解教育对幼儿残疾意识和接受态度的影响”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145
Ji Yeong Yun, Kyounguck Nam
{"title":"\"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Picture Book-Based Digital Edutainment Content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authors":"Ji Yeong Yun, Kyounguck Nam","doi":"10.21214/kecse.2023.23.3.14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4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그림책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통합 학급의 만3 ~ 5세 유아 2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회기당 약 15분씩 주 3 ~ 4회, 5주에 걸쳐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수업 중 유아들에게서 공감과 몰입행동이 나타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기반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에서 효과적인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학계, 현장, 정부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4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Analysis of Domest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 基于“语义网络分析”的国内幼儿特殊教育研究趋势分析——以2002 - 2022年韩国同行评议期刊文章为例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283
Hyesook Kim, Byoungin Lee, Gyuwon Seo, Chanmi Joo
{"title":"A Study on the Analysis of Domest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authors":"Hyesook Kim, Byoungin Lee, Gyuwon Seo, Chanmi Joo","doi":"10.21214/kecse.2023.23.3.28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8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幼儿全纳教育环境中同伴关系增进项目效果的系统文献回顾与元分析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313
Min Sook Choi, Kay Heoun Heo
{"titl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authors":"Min Sook Choi, Kay Heoun Heo","doi":"10.21214/kecse.2023.23.3.31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31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20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0.98의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중재방법과 종속변인에서는 범주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인 효과에서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유아연령, 집단규모에서는 범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재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a Teacher’s Play Intervention through Cooperative Consulta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合作性咨询教师游戏干预对全纳幼儿园重度及多重残疾儿童社会互动的影响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53
Kyungwon Min, Jina Noh
{"title":"Effect of a Teacher’s Play Intervention through Cooperative Consulta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authors":"Kyungwon Min, Jina Noh","doi":"10.21214/kecse.2023.23.3.5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53","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Inclusive Education Preschool Teacher’s Job Burnout: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社会支持对全纳教育幼儿教师工作倦怠的影响:教师效能感和全纳教育态度的序贯中介作用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103
Yiyun Cheng, HyeYeong Park
{"title":"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Inclusive Education Preschool Teacher’s Job Burnout: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authors":"Yiyun Cheng, HyeYeong Park","doi":"10.21214/kecse.2023.23.3.10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0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 소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사회적 지지 및 직무 소진 사이에 미치는 직렬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의 통합교육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AMOS와 SPSS Macro process 3.5를 활용하여 직렬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 소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직무 소진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도 사회적 지지와 직무 소진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 소진 간의 관계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직렬 매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 소진에 사회적지지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태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소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Embedded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全纳教育背景下幼儿残疾嵌入式教学国内外研究趋势综述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195
Suk-jung Woo, Seo-kyung Kwon, Min-joung Park, Suk-Hyang Lee
{"title":"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Embedded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authors":"Suk-jung Woo, Seo-kyung Kwon, Min-joung Park, Suk-Hyang Lee","doi":"10.21214/kecse.2023.23.3.19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9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환경 내 장애 유아를 위한 삽입교수 관련 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중재의 방향과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2011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총 19편(국내 10편, 국외 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중재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로 유아는 발달지체, 교사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단일대상연구가 집단연구보다 3배 이상 많이 활용되었으며, 과반수 가까이 또는 그 이상의 연구에서 유지, 일반화,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았으며, 비디오 분석으로 종속변인을 측정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연구의 중재 목적으로는 교사의 삽입교수실행 가능성 검증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유아 대상 중재 전략으로 촉진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교사 대상 중재 전략으로는 피드백, 코칭, 중재 매뉴얼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이 혼합되어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중재가 삽입된 일과로는 자유선택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환경 내 장애 유아를 위한 삽입교수 중재의 실제와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Support in the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家庭支持在自闭症谱系障碍早期筛查和诊断中的文献综述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253
Sehwa Sim, Haena Lee, Shinmyeong Yoon, Gyeonggyu Kim, Jiyeon Park
{"title":"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Support in the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uthors":"Sehwa Sim, Haena Lee, Shinmyeong Yoon, Gyeonggyu Kim, Jiyeon Park","doi":"10.21214/kecse.2023.23.3.253","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5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ASD)의 조기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의 가족지원을 위한 국내외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의 가족지원 실제와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2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외논문 중 ASD 조기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의 가족지원을 다룬 연구 총 23편을 선정하여 개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기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의 가족지원 요구 및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 제공된 가족지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SD 진단 과정을 다룬 논문이 13편으로 가장 많았고, 선별과 진단 과정을 함께 다루거나 선별 과정만 다룬 논문도 10편이 있었다. 둘째, ASD 선별 및 진단 과정을 거치는 가족들의 요구 중에서는 정보적 요구와 실제적 요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선정된 논문 중 조기 선별 및 진단 과정에서 실제로 가족을 지원한 연구 8편을 분석한 결과 ASD에 대한 이해 증진을 공통적인 중재 요소로 포함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중재 내용은 연구마다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SD 영유아와 가족을 위한 ASD의 조기 선별 및 진단 과정의 가족지원 관련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7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Bibliograph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in Chinese Kindergartens" 中国幼儿园游戏性课程研究趋势的文献分析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75
Xinxue Zhang, Jongnam Baek
{"title":"Bibliograph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in Chinese Kindergartens\"","authors":"Xinxue Zhang, Jongnam Baek","doi":"10.21214/kecse.2023.23.3.75","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75","url":null,"abstract":"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를 핵심내용으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의 시행과정을 통해 이를 통합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국가지식인프라(www.cnki.net )를 통해 1995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학술지의 문헌자료 448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시각화-사이트스페이스’를 활용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연구 문헌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현황과 핫스팟(hotspot), 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간의 학술적 교류와 협력이 부족하고, 연구 접근방식은 양적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주제는 유치원, 민속놀이, 놀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놀이정신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분야의 연구 동향으로는 놀이, 민속놀이, 놀이화(化)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의 발전과정과 핫스팟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Field-experiences in Kore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韩国幼儿特殊教育实地经验研究趋势分析
Yua teugsu gyoyu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214/kecse.2023.23.3.1
Soonja Lee, Chung Eun Lee
{"title":"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Field-experiences in Kore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authors":"Soonja Lee, Chung Eun Lee","doi":"10.21214/kecse.2023.23.3.1","DOIUrl":"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url":null,"abstract":"교원양성대학의 예비교사 교육에 있어 학교현장실습은 역량과 전문성을 키우는 데 있어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학교 현장실습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가 그동안 이루어져왔으나, 유아특수교사 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특수교육 학교현장실습과 관련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동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탐색한 결과 총 1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고, 게재학술지 및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실습기관 환경, 연구주제 및 세부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로 연구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특수교사를 포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실습환경에 있어서는 유치원 특수학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특수학교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현황 및 실태, 인식, 경험 등을 살펴본 연구가 많았으며 그 외 실습 개선 프로그램 또는 실습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중재 프로그램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특수교사 학교현장실습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2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