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语义网络分析”的国内幼儿特殊教育研究趋势分析——以2002 - 2022年韩国同行评议期刊文章为例","authors":"Hyesook Kim, Byoungin Lee, Gyuwon Seo, Chanmi Joo","doi":"10.21214/kecse.2023.23.3.28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Analysis of Domest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authors\":\"Hyesook Kim, Byoungin Lee, Gyuwon Seo, Chanmi Joo\",\"doi\":\"10.21214/kecse.2023.23.3.28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2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Analysis of Domest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22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