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绘本的数字寓教于乐内容的残疾理解教育对幼儿残疾意识和接受态度的影响”","authors":"Ji Yeong Yun, Kyounguck Nam","doi":"10.21214/kecse.2023.23.3.14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그림책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통합 학급의 만3 ~ 5세 유아 2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회기당 약 15분씩 주 3 ~ 4회, 5주에 걸쳐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수업 중 유아들에게서 공감과 몰입행동이 나타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기반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에서 효과적인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학계, 현장, 정부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Picture Book-Based Digital Edutainment Content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authors\":\"Ji Yeong Yun, Kyounguck Nam\",\"doi\":\"10.21214/kecse.2023.23.3.14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그림책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통합 학급의 만3 ~ 5세 유아 2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회기당 약 15분씩 주 3 ~ 4회, 5주에 걸쳐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수업 중 유아들에게서 공감과 몰입행동이 나타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기반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에서 효과적인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학계, 현장, 정부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4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4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Picture Book-Based Digital Edutainment Content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
본 연구는 그림책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통합 학급의 만3 ~ 5세 유아 2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회기당 약 15분씩 주 3 ~ 4회, 5주에 걸쳐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수업 중 유아들에게서 공감과 몰입행동이 나타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기반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에서 효과적인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학계, 현장, 정부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