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合作性咨询教师游戏干预对全纳幼儿园重度及多重残疾儿童社会互动的影响","authors":"Kyungwon Min, Jina Noh","doi":"10.21214/kecse.2023.23.3.5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 of a Teacher’s Play Intervention through Cooperative Consulta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authors\":\"Kyungwon Min, Jina Noh\",\"doi\":\"10.21214/kecse.2023.23.3.5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ffect of a Teacher’s Play Intervention through Cooperative Consulta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