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幼儿全纳教育环境中同伴关系增进项目效果的系统文献回顾与元分析","authors":"Min Sook Choi, Kay Heoun Heo","doi":"10.21214/kecse.2023.23.3.31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20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0.98의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중재방법과 종속변인에서는 범주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인 효과에서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유아연령, 집단규모에서는 범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재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authors\":\"Min Sook Choi, Kay Heoun Heo\",\"doi\":\"10.21214/kecse.2023.23.3.31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20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0.98의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중재방법과 종속변인에서는 범주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인 효과에서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유아연령, 집단규모에서는 범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재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3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3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是为了考察在综合教育环境中幼儿同龄关系增进计划的效果,以最近20年间在国内发行的韩国研究财团登载学术杂志为对象,实施了系统文献考察及元分析的研究方法。根据研究者定义的PICOS内容,20篇文献被选定为最终分析对象。研究结果表明,综合教育环境内幼儿同龄关系增进计划的整体效果大小(Hedges ' s g)采用随机效果模型,具有0.98的大水平效果。从下位领域来看,仲裁方法和从属关联方在范畴之间的统计上显示了显著的效果。在调节变异效果方面,为增进同龄人关系的幼儿年龄和集团规模方面,范畴之间没有出现有意义的差异,但仲裁期限在统计上出现了有意义的差异。以这样的结果分析为基础,研究了综合教育环境内幼儿同龄关系增进计划实行效果最大化的要素,并提出了启示点。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20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0.98의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중재방법과 종속변인에서는 범주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인 효과에서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유아연령, 집단규모에서는 범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재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