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Bibliograph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in Chinese Kindergartens\"","authors":"Xinxue Zhang, Jongnam Baek","doi":"10.21214/kecse.2023.23.3.75","DOIUrl":null,"url":null,"abstract":"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를 핵심내용으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의 시행과정을 통해 이를 통합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국가지식인프라(www.cnki.net )를 통해 1995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학술지의 문헌자료 448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시각화-사이트스페이스’를 활용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연구 문헌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현황과 핫스팟(hotspot), 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간의 학술적 교류와 협력이 부족하고, 연구 접근방식은 양적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주제는 유치원, 민속놀이, 놀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놀이정신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분야의 연구 동향으로는 놀이, 민속놀이, 놀이화(化)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의 발전과정과 핫스팟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를 핵심내용으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의 시행과정을 통해 이를 통합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국가지식인프라(www.cnki.net )를 통해 1995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학술지의 문헌자료 448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시각화-사이트스페이스’를 활용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연구 문헌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현황과 핫스팟(hotspot), 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간의 학술적 교류와 협력이 부족하고, 연구 접근방식은 양적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주제는 유치원, 민속놀이, 놀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놀이정신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분야의 연구 동향으로는 놀이, 민속놀이, 놀이화(化)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의 발전과정과 핫스팟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