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多元文化家庭中幼儿教师对语言发展迟缓儿童教学经验的定性研究","authors":"Sohyun An, Byoungin Lee, Sunghyun Bae","doi":"10.21214/kecse.2023.23.2.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지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지도하고 있는 4명의 교사를 개별 심층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이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 관계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거듭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지도하며 언어발달지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동료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 가정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현실적인 가족지원, 교사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in Multicultural Families\",\"authors\":\"Sohyun An, Byoungin Lee, Sunghyun Bae\",\"doi\":\"10.21214/kecse.2023.23.2.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지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지도하고 있는 4명의 교사를 개별 심층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이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 관계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거듭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지도하며 언어발달지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동료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 가정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현실적인 가족지원, 교사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지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지도하고 있는 4명의 교사를 개별 심층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이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 관계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거듭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지도하며 언어발달지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동료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 가정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현실적인 가족지원, 교사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