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幼儿特殊教育现状分析与可持续发展探讨","authors":"Gye Shin Park, Taeyoung Kim","doi":"10.21214/kecse.2023.23.2.1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화와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지원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부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이 종료된 2022년까지 총15년 동안의 유아특수교육 현황을 시계열적 데이터로 제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연차보고서」, 「특수교육통계」, 「교육통계연보」 등의 자료에 담긴 유아특수교육현황 관련 통계 자료를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영유아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학령기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대비했을 때도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 설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특수학교, 유치원 전일제 통합학급, 유치원 특수학급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장애전문어린이집이나 통합어린이집에 비해 일반 어린이집 취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육기관 재정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액이 증가하였고, 사립유치원 지원액이 공립유치원 지원액의 3배 정도 높았다. 유아특수교육비는 15년간 4.65배로 증가하여 특수교육비(2.99 증가배수)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Discus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authors\":\"Gye Shin Park, Taeyoung Kim\",\"doi\":\"10.21214/kecse.2023.23.2.1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화와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지원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부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이 종료된 2022년까지 총15년 동안의 유아특수교육 현황을 시계열적 데이터로 제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연차보고서」, 「특수교육통계」, 「교육통계연보」 등의 자료에 담긴 유아특수교육현황 관련 통계 자료를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영유아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학령기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대비했을 때도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 설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특수학교, 유치원 전일제 통합학급, 유치원 특수학급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장애전문어린이집이나 통합어린이집에 비해 일반 어린이집 취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육기관 재정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액이 증가하였고, 사립유치원 지원액이 공립유치원 지원액의 3배 정도 높았다. 유아특수교육비는 15년간 4.65배로 증가하여 특수교육비(2.99 증가배수)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Discus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화와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지원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부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이 종료된 2022년까지 총15년 동안의 유아특수교육 현황을 시계열적 데이터로 제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연차보고서」, 「특수교육통계」, 「교육통계연보」 등의 자료에 담긴 유아특수교육현황 관련 통계 자료를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영유아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학령기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대비했을 때도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 설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특수학교, 유치원 전일제 통합학급, 유치원 특수학급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장애전문어린이집이나 통합어린이집에 비해 일반 어린이집 취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육기관 재정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액이 증가하였고, 사립유치원 지원액이 공립유치원 지원액의 3배 정도 높았다. 유아특수교육비는 15년간 4.65배로 증가하여 특수교육비(2.99 증가배수)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