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权力卡策略与其他行为差异强化对发展迟缓儿童任务回避行为的影响","authors":"Youngmo Kang, Wookyum Kim, Seung Hyun Son","doi":"10.21214/kecse.2023.23.2.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가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4세 유아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치료 활동 중 유아가 나타내는 과제회피행동에 대한 파워카드전략의 중재 효과와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기초선(A)과 중재(B)의 비교, 단일 중재(B)와 혼합 중재(BC)의 비교를 통해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다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치료실과 가정에서 감각통합치료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녹화한 뒤 40초 부분-동간기록법으로 발생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적 분석을 실시하는 동시에 Tau-U를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전략은 과제회피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함께 적용했을 때 중재 효과는 더욱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활용한다면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s of Power Card Strategy and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s (DRO) on the Task-Avoidance Behaviors of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authors\":\"Youngmo Kang, Wookyum Kim, Seung Hyun Son\",\"doi\":\"10.21214/kecse.2023.23.2.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가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4세 유아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치료 활동 중 유아가 나타내는 과제회피행동에 대한 파워카드전략의 중재 효과와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기초선(A)과 중재(B)의 비교, 단일 중재(B)와 혼합 중재(BC)의 비교를 통해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다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치료실과 가정에서 감각통합치료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녹화한 뒤 40초 부분-동간기록법으로 발생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적 분석을 실시하는 동시에 Tau-U를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전략은 과제회피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함께 적용했을 때 중재 효과는 더욱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활용한다면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1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s of Power Card Strategy and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s (DRO) on the Task-Avoidance Behaviors of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본 연구는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가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4세 유아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치료 활동 중 유아가 나타내는 과제회피행동에 대한 파워카드전략의 중재 효과와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기초선(A)과 중재(B)의 비교, 단일 중재(B)와 혼합 중재(BC)의 비교를 통해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다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치료실과 가정에서 감각통합치료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녹화한 뒤 40초 부분-동간기록법으로 발생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적 분석을 실시하는 동시에 Tau-U를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전략은 과제회피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함께 적용했을 때 중재 효과는 더욱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파워카드전략과 타행동차별강화를 활용한다면 발달지체 유아의 과제회피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