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Validity and reliability for a social emotional curriculum base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authors":"Kay-Heoung Heo, Eun-Hee Ma, Seo-Young Song, Hee-Soo Lim","doi":"10.21214/kecse.2023.23.2.1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예비도구를 사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그리고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36개월 이상 유아 715명과 이들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항적합도 및 난이도 분석, 내용타당도 구축, 상관분석 및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신뢰도는 내적 신뢰도, 재검사 신뢰도, 그리고 부모-교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셋째, 절선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놀이 및 사회적 기술, 사회적 문제해결, 관심 및 활동 참여, 일과 및 규칙, 자기주도, 자존감, 정서인식 및 표현’의 8요인, 총 117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현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제시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예비도구를 사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그리고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36개월 이상 유아 715명과 이들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항적합도 및 난이도 분석, 내용타당도 구축, 상관분석 및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신뢰도는 내적 신뢰도, 재검사 신뢰도, 그리고 부모-교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셋째, 절선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놀이 및 사회적 기술, 사회적 문제해결, 관심 및 활동 참여, 일과 및 규칙, 자기주도, 자존감, 정서인식 및 표현’의 8요인, 총 117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현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제시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