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Validity and Reliability of Development of Working Memory Tes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authors":"Ji Eun Choi, Hyo Jin Koo","doi":"10.21214/kecse.2023.23.2.8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작업기억 측정과 관련된 검사 도구 개발 및 해당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편의군집표집된 총 137명(비장애유아 85명, 발달지체유아 52명)의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 통과율을 기초로 총 7개 하위과제(숫자 따라말하기, 단어 따라말하기, 무의미음절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색칠하기, 셈하여 회상하기, 읽고 회상하기)와 24개의 문항을 개발한 후 검사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 a는 .77-.87,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7-.94로 유의미한 상관이 보고되었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산출된 총점 및 요인 간 상관계수는 .54-.94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유아 작업기억 검사도구의 학문적 의의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작업기억 측정과 관련된 검사 도구 개발 및 해당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편의군집표집된 총 137명(비장애유아 85명, 발달지체유아 52명)의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 통과율을 기초로 총 7개 하위과제(숫자 따라말하기, 단어 따라말하기, 무의미음절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색칠하기, 셈하여 회상하기, 읽고 회상하기)와 24개의 문항을 개발한 후 검사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 a는 .77-.87,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7-.94로 유의미한 상관이 보고되었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산출된 총점 및 요인 간 상관계수는 .54-.94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유아 작업기억 검사도구의 학문적 의의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