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幼儿园教师金恩敬、郑恩荣、尚秀巴等的全纳教育意识与教学效能研究[j]","authors":"Eun Kyeong Kim, Grace Jung Eunyoung, Sangsu Baek","doi":"10.21214/kecse.2023.23.2.1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K도 공립유치원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한 일반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시간 및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특수교육연수 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 관련 연수는 전반적 교사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통합교육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유아교사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표본 확대를 통한 연구 및 교사 효능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awarenes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 Kim Eun Kyeong․Eunyoung Grace Jung․Sangsu Ba다\",\"authors\":\"Eun Kyeong Kim, Grace Jung Eunyoung, Sangsu Baek\",\"doi\":\"10.21214/kecse.2023.23.2.1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K도 공립유치원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한 일반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시간 및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특수교육연수 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 관련 연수는 전반적 교사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통합교육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유아교사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표본 확대를 통한 연구 및 교사 효능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2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awarenes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 Kim Eun Kyeong․Eunyoung Grace Jung․Sangsu Ba다
본 연구는 K도 공립유치원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한 일반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유아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육 연수 시간 및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특수교육연수 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 관련 연수는 전반적 교사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통합교육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유아교사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표본 확대를 통한 연구 및 교사 효능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