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eo'seuteu'leisyeon po'leum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Study on the Lines in Initial Sketches - Focusing on the beauty painting’s initial sketches by Yi-Dang Kim Eun-Ho - 初稿的线条研究——以义堂金恩浩的美画初稿为例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0
Yu Ju Lee
{"title":"Study on the Lines in Initial Sketches - Focusing on the beauty painting’s initial sketches by Yi-Dang Kim Eun-Ho -","authors":"Yu Ju Lee","doi":"10.37379/jksir.2023.76.10","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0","url":null,"abstract":"화가가 창작하고자 하는 작품에 대한 생각이나 대상, 또는 이야기는 초본(草本), 드로잉, 스케치 등의 형태로 현현한다. 이 작품들은 작가가 대상을 마주하고 접속하 고 이해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의식과 무의식의 에너지 가 손끝의 움직임으로 연결되어 빈 백지에 드러난 ‘선’ 들의 집합이다. 이러한 선은 작가의 신체적 움직임, 정 신세계, 그리고 표현력 등이 결합한 산물이며, 작가가 추상(抽像)한 대상의 본질을 반영한다. 대개 초본은 완 성된 작품의 전前 단계로 간주 되지만, 필자는 초본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지니는 본질적인 특성과 그러한 특성을 가능하게 하는 ‘초본의 선’에 주목한다. 본고는 이당 김은호의 미인도 초본 23점을 이와 관련한 정본 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의 초본에 나타나는 다양한 선들의 특성과 작품세계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초본의 선을 구성하는 요소, 선의 형성과정, 그리고 그러한 선 들이 지니는 철학적, 내용적, 형식적, 관계적 특징들을 도출하여, 예술작품으로서의 초본이 지니는 가치와 의 미를 ‘선’을 통해 조망하고, 그것이 형성하는 의미의 총 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본의 선’들은 채색을 통해 그 존재감이 사라지기 전에 서로 유기적으 로 상호작용하면서 나름의 생명력과 존재감을 발휘한 다. 이러한 선들은 작가만의 시각, 창의성, 통찰 및 시 공간 등을 반영하고, 초본에 독립적인 예술적 가치를 부여한다. 이는 또한 초본을 구성하는 선들이 창작 과 정에서 나타나는 일개의 조형요소가 아니라, 초본이 자 체적으로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요 체임을 증명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Differences i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by Genre of Classical Music 古典音乐流派色彩与情感词汇差异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6
Sook Hyun Han
{"title":"A Study on Differences i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by Genre of Classical Music","authors":"Sook Hyun Han","doi":"10.37379/jksir.2023.76.16","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6","url":null,"abstract":"클래식 음악의 장르별 색채 및 감성 어휘 표현에 관 한 연구는 음악이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 형식임을 고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음악의 장르별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클래식 음악 장르별 이미지와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와 감성 어휘의 차이를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음색을 듣 고 음색이 만드는 화음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고자 전 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대중적인 클래식 곡 5곡을 선곡 하였다. 실험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선곡된 장르별 음악 과 추출된 형용사와 색채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0개의 감정 형용사를 스케일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색채를 대입하여 색채음악 이미지 스케일의 시안을 제안하였다. 각 장르별로 대부분 비슷 한 색채연상 결과를 나타냈지만, 음악 연상 형용사는 비슷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장르의 특징과 악기의 음 색에 의하여 색채 결과 값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악기 의 음색과 색채음악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음악 분수, 불꽃축제, 공간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 자료를 통해 감성디자인, 심리치료, 공감각 활용 교육, 마케팅 등 다양한 방면에 객관적인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emantic Analysis of Spanish Civil War Propaganda Poster - Focusing on the grotesque aspects - 西班牙内战宣传海报的语义分析——以怪诞为中心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7
Jae Won Chang
{"title":"Semantic Analysis of Spanish Civil War Propaganda Poster - Focusing on the grotesque aspects -","authors":"Jae Won Chang","doi":"10.37379/jksir.2023.76.17","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7","url":null,"abstract":"스페인 내전은 계급간의 투쟁, 권위주의와 자유주의, 혁명과 반혁명, 공산주의와 파시즘 간의 투쟁으로 인식 되는 최초의 이데올로기 전쟁이었으며 프로파간다는 이 전쟁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특히 포스터 분야에서 이러한 특색이 두드러진다. 전쟁은 인류에게 잔인함과 두려움 자체이고 스페인 내전에서는 이러한 그로테스크 의 감정이 포스터를 통해 호소되었다. 본 연구는 그로 테스크의 미학적 특성을 ‘표현의 잔혹성과 혐오성’, ‘변 형된 육체의 엽기성’, ‘희화화된 풍자성’이라는 주제로 분류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페인 내전의 프로파간다 포 스터에 표현되어있는 그로테스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분석을 통해 포스터에 함의된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두 진영은 국제사회와 스페인 국 민들에게 각자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그로테스크의 표현방식을 통해 상대를 희화하 고 짐승이나 괴물로 비인간화하였으며 잔인하거나 이질 적, 또는 공포스러운 이미지로 불안을 야기하는 방식으 로 인간의 적개심과 동정심, 두려움에 직접적으로 호소 하였다. 두 진영은 공통적으로 연대와 참여의 이데올로 기를 전달하고 있었으나 공화진영은 자유와 평등과 권 위의 붕괴를, 국민진영은 통합과 안정과 기존질서의 유 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연구 를 통하여 프로파간다 포스터에서 그로테스크적 특성들 은 그 메시지 전달자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다양하게 분 석되고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Design Events on City Branding 国际设计活动对城市品牌化的影响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2
Ju Hyeon Park, Dongsik Hong
{"title":"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Design Events on City Branding","authors":"Ju Hyeon Park, Dongsik Hong","doi":"10.37379/jksir.2023.76.02","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제 디자인 행사가 개최도시의 도시브랜 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여 국제 디자인 행 사의 필요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례분석으로 사례선정은 규모 면에서 세계적인 행사 규모와 10년 이상 지속해서 개최되고 있으며, 팬데믹을 극복한 디자 인 행사로 한정하였다. 20년 동안 국제 디자인 행사로 인해 도시브랜드를 구축한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과 지 난 16년 동안 8개의 도시에 디자인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세계디자인수도(World Design Capital, WDC)를 선정했다. 연구과제는 국제적인 규모의 디자 인 행사가 도시브랜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탐구하 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연구는 첫째, 이론적인 토대로 국제 디자인 행사로 인한 디자인의 본 질적인 목적을 살펴보고 도시브랜딩으로의 실현 가능성 에 대해서 참고문헌과 유사선행논문을 통한 문헌을 탐 구한다. 둘째, 자료 분석방법으로 먼저 상대적으로 역 사가 길고 도시브랜드 순위가 높은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의 사례연구를 통해 성공적 인 전시행사의 특성을 먼저 파악하고 난 후에 WDC(세 계디자인수도)의 도시브랜딩 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두 디자인 행사의 비교분석을 통해 디자인 행사가 도시브랜딩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섯 가지 추출했다. 그 다섯 요소는 사회성, 경제성, 문화성, 지속가능성, 연결성이다. 지난 16년 이상 20년 동안 개최되고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국제 디자인 행사인 런던 디자인 페스 티벌과 세계디자인수도는 개최지역의 도시와 협력을 통 해 사회적, 경제적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고 도시재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문화적으로는 개최도시의 자긍심을 고취했다. 또한, 디자인 관련 제도화로 인한 지속가능 성과 온라인 네트워크의 연결성으로 인해 세계가 아이 디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성공적인 도시브랜딩으로 발전해갈 가능성을 더욱 높이게 되었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2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Night Landscape to Reflect Regional Identity 体现地域特色的夜景设计方向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2
Ki Seon Ahn
{"title":"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Night Landscape to Reflect Regional Identity","authors":"Ki Seon Ahn","doi":"10.37379/jksir.2023.76.12","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지역의 특정 권역에 지역 정체성 반영을 위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야간경관 계획에 있어 지역 정체 성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다. 연구범위는 공공디자인 분야의 지역 정체성 관련 기존 연구 고찰과 경관조명 디자인 선행사례를 조사·분 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공공디자인 관련 문헌 고찰 을 통해 지역 정체성의 맥락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경관조명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기법 및 디자인 요 소, 경관조명 디자인 유형과 적용 기술 및 서비스, 경 관조명 디자인의 12개 사례에서 지역 정체성 반영 특 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 1)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서 디자인 융합은 대내외적 여가·관광 확대 선상에서 지역 정체성 강화 수단이다. 2) 경관조명은 빛의 시퀀 스를 통한 형태적 콘텍스트 유형과 빛에 의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대중의 참여 확대 양상으로 소통 을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3) 경관조명 디자인은 경관 자원 및 오브제 등의 미학적 향상뿐만 아니라 대중과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산시킨다. 4) 경관조 명을 통한 상호작용은 미디어아트와 같이 실감형·체험 형 콘텐츠 구축으로 나타난다. 5) 경관의 시각적 형태 와 특징에 따라 경관조명 유형, 연출 시점, 연출 대상, 연출 방법 등에서 빛의 콘텍스트와 시각적 시퀀스를 디 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공간환경의 시각적 위계를 고려한 경관조명 연출 기법, 조명의 형태와 색 상, 재질, 마감재 등 통합디자인 맥락에서 지역 정체성 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경관조명 디자인 중심의 실용 연구가 부 족한 실정에서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있어 디자인 융 합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다. 향후, 야간경관 계획 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역 정체성 반영 방안을 고려하고, 중·장기적인 디자인 개발 및 실행·유 지·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융복합의 야간경관 디자인 계 획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User's Aesthetic Experience of Transparent Media -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 透明媒介的用户审美体验研究——基于情感词汇的视角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1
Soo Jin Lee
{"title":"A Study on User's Aesthetic Experience of Transparent Media -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authors":"Soo Jin Lee","doi":"10.37379/jksir.2023.76.01","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투명 미디어에 반영된 투명도의 정도에 따 른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연구하여 시각 콘텐츠를 구현하 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투명성 은 프레임이 없는 전체 투명(TV, 모니터), 부분 투명(아나 몰픽), 디바이스가 없음(홀로그램), 3가지 조건으로 구분 하였다.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형용사적 감성어휘와 좋음, 만족의 종합적인 평가 어휘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투명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미적 경험은 시각적 생동감, 새로움, 조화성, 장식성, 멋있음, 확장성으 로 나타났으며, 3가지 유형의 투명성에서 미적 경험의 차 이가 있었다. 투명 미디어에 대한 만족함은 생동감, 새로 움, 조화성, 멋있음의 측면에서, 좋음의 평가에는 조화성, 멋있음 두 속성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용자의 미적 경 험의 만족성이 높다 하더라도 좋게 평가하지는 않음을 의 미한다. 투명 미디어의 보편화에 따라 새로움의 경험은 약해질 수 있는데, 새로움을 제외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3가지 투명성 조건에서 각각 다른 미적 경험이 더 명확하 게 나타났다. 디바이스 없는 투명 조건에서는 움직임의 요소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지금까지 프린팅·디지털 미디 어에서의 불투명성과는 달리, 투명이라는 새로운 미적 경 험은 물리적·관념적 속성에 의해 미디어, 시각콘텐츠, 미 디어가 놓인 공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침투성’이 있다. 따라서 투명성의 조건에 적합한 콘텐츠가 구현되어 야 하며 각각의 미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긍정적 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2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 电商平台作为化妆品品牌分销渠道的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3
Hyun Soo Kim, Jae Wook Shin
{"title":"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authors":"Hyun Soo Kim,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3","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3","url":null,"abstract":"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22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Case Study of Domestic Sustainable Cosmetics Container Design 国内可持续化妆品容器设计案例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3
Hee Suk Lim
{"title":"A Case Study of Domestic Sustainable Cosmetics Container Design","authors":"Hee Suk Lim","doi":"10.37379/jksir.2023.76.13","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3","url":null,"abstract":"환경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트렌드로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더욱 필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 다. 친환경 용기에 대한 트렌드 및 수요의 증가로 K-Beauty가 친환경 이미지를 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시장의 60%를 차지 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 으며, 연구범위는 LG생활건강의 ESG 보고서, 아모레퍼 시픽의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연도별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재활용과 감량화 접근 방법이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어 지속가능 화장품 용기 디자 인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사용의 지 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한 실정으로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생분해의 지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 한 실정으로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을 통한 순환 경제 달성을 위해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을 고려한 지속가능디자인이 실행되어야 하며 제품의 기획에서 개발, 소비 및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친 친환경 디자인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에 지 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화장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요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한 화장품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基于跨媒体叙事的毕业设计设计方法与教学体系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8
Hye Jin Park
{"title":"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authors":"Hye Jin Park","doi":"10.37379/jksir.2023.76.18","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8","url":null,"abstract":"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Perfume Package Desig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multi-sensory experiences as the core for creative concept generation - 基于增强现实技术的香水包装设计研究——以多感官体验为核心的创意概念生成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4
Rea Sung, Yun Tae Nam
{"title":"A Study on Perfume Package Desig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multi-sensory experiences as the core for creative concept generation -","authors":"Rea Sung, Yun Tae Nam","doi":"10.37379/jksir.2023.76.04","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4","url":null,"abstract":"본 연구는 M 대학교 디자인 스튜디오 실습과정에서 학생들과 창의적 콘셉트 디자인 도출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서 시각, 청각, 후 각, 촉각 경험 요소의 융합을 탐구한다. 디자인 학습과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을 융합하여 학생들이 창의적 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실제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증 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을 창조적이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 방 법 및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였다. 기존 형식 적인 패키지 디자인 워크플로우(Workflow)에서 한층 더 발전된 다양한 디자인 접근 방식에 의의를 갖는다.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사용자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결 과를 기반으로 최종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에 관한 논의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법과 콘셉트 디자인의 혁신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학습과 실전의 융합을 통해 창의성 촉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2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