电商平台作为化妆品品牌分销渠道的研究

Hyun Soo Kim, Jae Wook Shin
{"title":"电商平台作为化妆品品牌分销渠道的研究","authors":"Hyun Soo Kim,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3","DOIUrl":null,"url":null,"abstract":"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authors\":\"Hyun Soo Kim,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3\",\"DOIUrl\":null,\"url\":null,\"abstract\":\"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继corona pendemic之后,非对称面购物被活性化,在实际时间里一边看动影像流一边销售产品的“live商务”呈现出急剧增长的趋势。教保证权利调查中心等表示,live商务市场规模从2022年的6.2万亿韩元增至2023年的10万亿韩元。化妆品品牌也正在迅速进军live商务市场。目前化妆品产品的现场商务通过试演节目表现出了很高的反响。本研究对现场商务市场和化妆品现场商务市场的现状及前景进行了了解,对构成现场商务的营销特征进行了了解,试图掌握其活用性。研究结果表明,目前在现场商务中,通过网络广播利用了消费者的粉丝心,活用了多样的内容的营销,成为了一个有趣的要素。而且,还通过抽奖活动,进行防止消费者外流的营销。另外,还可以掌握各平台现场商务宣传营销类型的差异。本研究暗示为了以后化妆品企业进军现场商务,在分析了每个平台使用的内容的差别性之后,应该考虑现场直播的进行。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
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