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电商平台作为化妆品品牌分销渠道的研究","authors":"Hyun Soo Kim,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3","DOIUrl":null,"url":null,"abstract":"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authors\":\"Hyun Soo Kim,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3\",\"DOIUrl\":null,\"url\":null,\"abstract\":\"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Live Commerce Platforms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Cosmetic Brands
코로나 펜데믹 이후 비대면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실 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 인 라이브 커머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이다. 교보증 권리서치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6조 2000억 원 수 준이었던 라이브 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3년에는 10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화장품 브랜드 도 급부상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 재 화장품 제품의 라이브 커머스는 시연 방송을 통해 높은 호응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과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살 펴보고, 라이브 커머스를 구성하는 마케팅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라이브 커머스에서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방송으로 소비 자들의 팬심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마케팅을 활용하여 하나의 재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품 추첨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 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플랫폼별로 라이브 커 머스 홍보 마케팅 유형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장품 업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위하 여 플랫폼마다 활용하는 콘텐츠의 차별성을 분석한 후 라이브 방송 진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