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Night Landscape to Reflect Regional Identity","authors":"Ki Seon Ahn","doi":"10.37379/jksir.2023.76.1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지역의 특정 권역에 지역 정체성 반영을 위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야간경관 계획에 있어 지역 정체 성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다. 연구범위는 공공디자인 분야의 지역 정체성 관련 기존 연구 고찰과 경관조명 디자인 선행사례를 조사·분 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공공디자인 관련 문헌 고찰 을 통해 지역 정체성의 맥락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경관조명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기법 및 디자인 요 소, 경관조명 디자인 유형과 적용 기술 및 서비스, 경 관조명 디자인의 12개 사례에서 지역 정체성 반영 특 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 1)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서 디자인 융합은 대내외적 여가·관광 확대 선상에서 지역 정체성 강화 수단이다. 2) 경관조명은 빛의 시퀀 스를 통한 형태적 콘텍스트 유형과 빛에 의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대중의 참여 확대 양상으로 소통 을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3) 경관조명 디자인은 경관 자원 및 오브제 등의 미학적 향상뿐만 아니라 대중과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산시킨다. 4) 경관조 명을 통한 상호작용은 미디어아트와 같이 실감형·체험 형 콘텐츠 구축으로 나타난다. 5) 경관의 시각적 형태 와 특징에 따라 경관조명 유형, 연출 시점, 연출 대상, 연출 방법 등에서 빛의 콘텍스트와 시각적 시퀀스를 디 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공간환경의 시각적 위계를 고려한 경관조명 연출 기법, 조명의 형태와 색 상, 재질, 마감재 등 통합디자인 맥락에서 지역 정체성 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경관조명 디자인 중심의 실용 연구가 부 족한 실정에서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있어 디자인 융 합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다. 향후, 야간경관 계획 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역 정체성 반영 방안을 고려하고, 중·장기적인 디자인 개발 및 실행·유 지·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융복합의 야간경관 디자인 계 획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의 특정 권역에 지역 정체성 반영을 위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야간경관 계획에 있어 지역 정체 성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다. 연구범위는 공공디자인 분야의 지역 정체성 관련 기존 연구 고찰과 경관조명 디자인 선행사례를 조사·분 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공공디자인 관련 문헌 고찰 을 통해 지역 정체성의 맥락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경관조명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기법 및 디자인 요 소, 경관조명 디자인 유형과 적용 기술 및 서비스, 경 관조명 디자인의 12개 사례에서 지역 정체성 반영 특 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 1)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서 디자인 융합은 대내외적 여가·관광 확대 선상에서 지역 정체성 강화 수단이다. 2) 경관조명은 빛의 시퀀 스를 통한 형태적 콘텍스트 유형과 빛에 의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대중의 참여 확대 양상으로 소통 을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3) 경관조명 디자인은 경관 자원 및 오브제 등의 미학적 향상뿐만 아니라 대중과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산시킨다. 4) 경관조 명을 통한 상호작용은 미디어아트와 같이 실감형·체험 형 콘텐츠 구축으로 나타난다. 5) 경관의 시각적 형태 와 특징에 따라 경관조명 유형, 연출 시점, 연출 대상, 연출 방법 등에서 빛의 콘텍스트와 시각적 시퀀스를 디 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공간환경의 시각적 위계를 고려한 경관조명 연출 기법, 조명의 형태와 색 상, 재질, 마감재 등 통합디자인 맥락에서 지역 정체성 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경관조명 디자인 중심의 실용 연구가 부 족한 실정에서 관광산업과 조명산업에 있어 디자인 융 합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다. 향후, 야간경관 계획 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역 정체성 반영 방안을 고려하고, 중·장기적인 디자인 개발 및 실행·유 지·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융복합의 야간경관 디자인 계 획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