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古典音乐流派色彩与情感词汇差异研究","authors":"Sook Hyun Han","doi":"10.37379/jksir.2023.76.16","DOIUrl":null,"url":null,"abstract":"클래식 음악의 장르별 색채 및 감성 어휘 표현에 관 한 연구는 음악이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 형식임을 고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음악의 장르별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클래식 음악 장르별 이미지와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와 감성 어휘의 차이를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음색을 듣 고 음색이 만드는 화음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고자 전 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대중적인 클래식 곡 5곡을 선곡 하였다. 실험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선곡된 장르별 음악 과 추출된 형용사와 색채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0개의 감정 형용사를 스케일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색채를 대입하여 색채음악 이미지 스케일의 시안을 제안하였다. 각 장르별로 대부분 비슷 한 색채연상 결과를 나타냈지만, 음악 연상 형용사는 비슷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장르의 특징과 악기의 음 색에 의하여 색채 결과 값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악기 의 음색과 색채음악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음악 분수, 불꽃축제, 공간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 자료를 통해 감성디자인, 심리치료, 공감각 활용 교육, 마케팅 등 다양한 방면에 객관적인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Differences i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by Genre of Classical Music\",\"authors\":\"Sook Hyun Han\",\"doi\":\"10.37379/jksir.2023.76.16\",\"DOIUrl\":null,\"url\":null,\"abstract\":\"클래식 음악의 장르별 색채 및 감성 어휘 표현에 관 한 연구는 음악이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 형식임을 고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음악의 장르별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클래식 음악 장르별 이미지와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와 감성 어휘의 차이를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음색을 듣 고 음색이 만드는 화음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고자 전 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대중적인 클래식 곡 5곡을 선곡 하였다. 실험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선곡된 장르별 음악 과 추출된 형용사와 색채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0개의 감정 형용사를 스케일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색채를 대입하여 색채음악 이미지 스케일의 시안을 제안하였다. 각 장르별로 대부분 비슷 한 색채연상 결과를 나타냈지만, 음악 연상 형용사는 비슷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장르의 특징과 악기의 음 색에 의하여 색채 결과 값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악기 의 음색과 색채음악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음악 분수, 불꽃축제, 공간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 자료를 통해 감성디자인, 심리치료, 공감각 활용 교육, 마케팅 등 다양한 방면에 객관적인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Differences i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by Genre of Classical Music
클래식 음악의 장르별 색채 및 감성 어휘 표현에 관 한 연구는 음악이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 형식임을 고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음악의 장르별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클래식 음악 장르별 이미지와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와 감성 어휘의 차이를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음색을 듣 고 음색이 만드는 화음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고자 전 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대중적인 클래식 곡 5곡을 선곡 하였다. 실험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선곡된 장르별 음악 과 추출된 형용사와 색채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0개의 감정 형용사를 스케일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색채를 대입하여 색채음악 이미지 스케일의 시안을 제안하였다. 각 장르별로 대부분 비슷 한 색채연상 결과를 나타냈지만, 음악 연상 형용사는 비슷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장르의 특징과 악기의 음 색에 의하여 색채 결과 값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악기 의 음색과 색채음악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음악 분수, 불꽃축제, 공간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 자료를 통해 감성디자인, 심리치료, 공감각 활용 교육, 마케팅 등 다양한 방면에 객관적인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