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Perfume Package Desig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 Focused on multi-sensory experiences as the core for creative concept generation -","authors":"Rea Sung, Yun Tae Nam","doi":"10.37379/jksir.2023.76.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M 대학교 디자인 스튜디오 실습과정에서 학생들과 창의적 콘셉트 디자인 도출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서 시각, 청각, 후 각, 촉각 경험 요소의 융합을 탐구한다. 디자인 학습과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을 융합하여 학생들이 창의적 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실제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증 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을 창조적이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 방 법 및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였다. 기존 형식 적인 패키지 디자인 워크플로우(Workflow)에서 한층 더 발전된 다양한 디자인 접근 방식에 의의를 갖는다.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사용자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결 과를 기반으로 최종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에 관한 논의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법과 콘셉트 디자인의 혁신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학습과 실전의 융합을 통해 창의성 촉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M 대학교 디자인 스튜디오 실습과정에서 학생들과 창의적 콘셉트 디자인 도출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서 시각, 청각, 후 각, 촉각 경험 요소의 융합을 탐구한다. 디자인 학습과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을 융합하여 학생들이 창의적 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실제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증 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을 창조적이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향수 패키지 디자인 방 법 및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였다. 기존 형식 적인 패키지 디자인 워크플로우(Workflow)에서 한층 더 발전된 다양한 디자인 접근 방식에 의의를 갖는다.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사용자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결 과를 기반으로 최종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에 관한 논의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법과 콘셉트 디자인의 혁신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학습과 실전의 융합을 통해 창의성 촉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