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Case Study of Domestic Sustainable Cosmetics Container Design","authors":"Hee Suk Lim","doi":"10.37379/jksir.2023.76.13","DOIUrl":null,"url":null,"abstract":"환경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트렌드로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더욱 필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 다. 친환경 용기에 대한 트렌드 및 수요의 증가로 K-Beauty가 친환경 이미지를 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시장의 60%를 차지 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 으며, 연구범위는 LG생활건강의 ESG 보고서, 아모레퍼 시픽의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연도별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재활용과 감량화 접근 방법이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어 지속가능 화장품 용기 디자 인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사용의 지 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한 실정으로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생분해의 지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 한 실정으로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을 통한 순환 경제 달성을 위해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을 고려한 지속가능디자인이 실행되어야 하며 제품의 기획에서 개발, 소비 및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친 친환경 디자인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에 지 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화장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요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한 화장품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환경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트렌드로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더욱 필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 다. 친환경 용기에 대한 트렌드 및 수요의 증가로 K-Beauty가 친환경 이미지를 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시장의 60%를 차지 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 으며, 연구범위는 LG생활건강의 ESG 보고서, 아모레퍼 시픽의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연도별 지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재활용과 감량화 접근 방법이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어 지속가능 화장품 용기 디자 인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사용의 지 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한 실정으로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생분해의 지속가능디자인 접근 방법 적용은 미비 한 실정으로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을 통한 순환 경제 달성을 위해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을 고려한 지속가능디자인이 실행되어야 하며 제품의 기획에서 개발, 소비 및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친 친환경 디자인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에 지 속가능한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화장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요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지속가능한 화장품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