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authors":"Hye Jin Park","doi":"10.37379/jksir.2023.76.18","DOIUrl":null,"url":null,"abstract":"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