基于跨媒体叙事的毕业设计设计方法与教学体系研究

Hye Jin Park
{"title":"基于跨媒体叙事的毕业设计设计方法与教学体系研究","authors":"Hye Jin Park","doi":"10.37379/jksir.2023.76.18","DOIUrl":null,"url":null,"abstract":"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authors\":\"Hye Jin Park\",\"doi\":\"10.37379/jksir.2023.76.18\",\"DOIUrl\":null,\"url\":null,\"abstract\":\"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随着媒体的急速发展,媒体间的界限消失,以与以前不同的方式传达、体验、融合、共享、享受的方式变得多样,出现了新的通讯结构上的变化。对此,本研究是trans对媒体讲故事”的创作方法论、有深度的理论考察为基础,trans媒体讲故事的制作过程和媒体方式借用了弓的毕业项目实验、验证,内容的扩张所能体验到的设计方法论构建和设计教育体系,研究的目的。案例分析对象限定为以跨媒体故事为基础的毕业项目的实际制作事例,并以毕业项目的结果为基础,分析灵活运用多种媒体平台的内容扩张和设计体系。分析结果,trans媒体讲故事为基础的毕业工程进行代理,掌握媒体的特性有关,被美国迪尔特化的内容为运用,什么样的内容,有的媒体平台使用,有的脉络是否应该在前个月各媒体将焦点对准个别内容可能接触斤为有机内容的体验了扩张。另外,分为多种媒体平台的内容作为个别内容具有独立的力量,同时还具有对整体宏观故事做出贡献的循环结构,可以在故事的多样性中理解一个世界观。trans媒体讲故事为基础的毕业项目的各种事故的转换通过内容的扩张,引领媒体批评的脖子里,看着自己的观点在自己企划主导职业专项、运用,有助于提出新的设计教育体系,期待在本研究作为基础。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