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eo'seuteu'leisyeon po'leum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 Study of Package Design on the Convenience Store Collaboration Type 便利店协同型包装设计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5
Min Hee Park, Cheol Lee
{"title":"A Study of Package Design on the Convenience Store Collaboration Type","authors":"Min Hee Park, Cheol Lee","doi":"10.37379/jksir.2023.76.05","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5","url":null,"abstract":"코로나19 이후 편의점 이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 들은 소비 트렌드에 맞춰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편의점 에 출시하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흥행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실패 사례 또한 적지 않은데, 동일 기업이라도 일부는 성공 사례로, 다른 일부 제품은 식 품 안전 규제로 인해 판매 중지되는 등의 현황이 나타 났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가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이 를 분석하여 어떤 시각적 구성 요소 차이로 인해 제품 의 성공 또는 실패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을 주로 활용 하고 있는 장수 브랜드 중 ‘곰표’, ‘말표’, ‘진로’ 세 기 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시각 분석표를 만들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세 기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곰표’와 ‘진로’는 기존 브랜드 이미지와 본질을 유지한 상태로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디자인 특징이 있는 반면 ‘말 표’는 주체 이미지와 콜라보레이션 이미지의 구분을 확 실히 하지 않아 판매 중지로 이어진 것을 파악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기업의 콜라보레이션 제품이라도 패키지의 로고, 색상, 일러스트 및 그래픽이 차이에 따 라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성장 시키기 위한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Case Study on the Patent for the Invention of Differentiated Cosmetic Containers 差别化化妆品容器发明专利案例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6
Chae Won Park, Jae Wook Shin
{"title":"A Case Study on the Patent for the Invention of Differentiated Cosmetic Containers","authors":"Chae Won Park, Jae Wook Shin","doi":"10.37379/jksir.2023.76.06","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6","url":null,"abstract":"지난해 전자상거래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5.4% 증가한 2억 8,100만 달러로 전체 품목 중 가장 많은 30.9%에 달했다. 긴 하지만 시류를 타지 않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만큼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용한 가치를 지 닐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화장품이 국내외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재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단순한 용기의 생산이 아닌 구조를 단순화하는 용기의 개발 즉, 차별화된 용기의 특허 등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차별화된 화장품 용기 발명 특허 사례를 A 대학의 졸업작품을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화장품 용기 개발 및 발명 산업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차별화된 화 장품 용기 발명 특허 사례의 범위는 A대학의 2017-2022의 졸업작품에 한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분 석 방법은 첫째, 103건에 해당되는 화장품 용기 발명 에 대해 화장품 용기 분류를 시행해 가장 많은 발명이 적용된 화장품에 대해 파악한다. 둘째, 화장품 용기에 적용된 기술을 분류해 가장 많이 적용된 기술을 파악한 다.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과 관련된 금형 기술은 제외 하였다, 셋째, 졸업작품에서 실용성 점수에서 가장 높 은 점수를 받았던 화장품 용기 발명 사례에 대해 특징 과 도면을 분석한다. 전반적인 연구의 결론은 다양한 화장품 용기가 존재하지만, A대학의 화장품 용기 발명 졸업작품을 파악했을 때, 아이섀도우 팔레트의 용기 발 명이 가장 활발했다. 국내외 화장품 시장을 선도 할 때 이를 활용한다면 화장품의 신기능 추가로 활발한 신기 능 화장품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 한 신기술 추가 기능을 화장품 용기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다양한 기술 추가로 화장품 용기 발명으로 진행되 었으면 한다. 앞으로의 화장품 용기 개발 및 발명 산업 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향후 화장품 용기 개발 및 발명 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Effects of Recollective Image and Color Healing on Stress Relief in the 2030 Generation 回忆影像与色彩疗愈对2030世代压力纾解的影响研究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8
Hye Won Jeong, Hyun Sun Chung
{"title":"A Study on the Effects of Recollective Image and Color Healing on Stress Relief in the 2030 Generation","authors":"Hye Won Jeong, Hyun Sun Chung","doi":"10.37379/jksir.2023.76.08","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8","url":null,"abstract":"스트레스는 현대인들에게 고질병이자 만병의 근원으 로 여겨지고 있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 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이슈이다. 더욱이 그 현실의 중심에 있는 2030세대들 에게는 직접적인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힐링과 치유의 시간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최근 그림책에 대한 인 식이 확장되면서 어린이를 위한 책을 넘어서 성인을 위 한 그림책, 그림책 독서 모임, 성인 그림책 치유 프로 그램 등이 생겨나고 있다. 글과 그림, 그리고 색채의 역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감정을 전달하는 그림책은 유년 시절에 대한 회고와 향수를 일으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성인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책의 순기능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 책의 회상 이미지와 색채가 치유 효과로 어떻게 나타나 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2030 세대가 어린 시절 즐겨 읽던 그림책이 어떠한 회상 이 미지를 연상시키는지 분석하고, 치유 효과에 있어서 회 상 이미지와 색채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색채 분석은 한국 표준색 색채 분석 프로그램인 KSCA(Korea Standard Color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20-30대가 어린 시절 즐겨 읽던 그림책을 통해 과거 회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연상된 회상 이미지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마음을 치 유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째, 그림책 회상 이미지를 불러일으키는 가장 큰 요소 는 표지의 배경 색이며, 그림책을 대표하는 색채로 인 식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추억 회고가 지치고 바쁜 현대인의 삶에 위로가 될 수 있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그림책의 회상 이미지와 색채 의 중요성이 향후 그림책 활동과 개발 과정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Effectiveness of Motion Graphic Videos for Responsible Drinking Campaigns - Focusing on campaign videos provi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 从计划行为理论的角度对负责任饮酒运动视频效果的研究——以韩国健康促进研究所提供的运动视频为例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7
Jae Min Na, Eun Joo Lee
{"title":"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Effectiveness of Motion Graphic Videos for Responsible Drinking Campaigns - Focusing on campaign videos provi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uthors":"Jae Min Na, Eun Joo Lee","doi":"10.37379/jksir.2023.76.07","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7","url":null,"abstract":"한국 사회에서 음주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한 폐해를 인식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사회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음주폐해의 예방이 건강 분야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시민의 건강 문제는 이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다양한 건강증진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음주폐해예방을 주제로 한 콘텐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공공 부문의 대국민 캠페인에 있어 서도 영상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인 시청각 표현 요소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요소가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인인 건강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동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모션그래픽의 두 구성 요소는 건강행동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주관적 규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션그 래픽의 두 가지 요소가 지각된 행동 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모션그래픽 요소가 건 강행동 실천에 이를 수 있도록 모션그래픽 요소의 활용 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 due to COVID-19 on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新冠肺炎心理变化经历对女大学生化妆行为的影响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5
Hye Youn Cho
{"title":"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 due to COVID-19 on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authors":"Hye Youn Cho","doi":"10.37379/jksir.2023.76.15","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이 여 대생들의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 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의 요인과 코로나19 이후의 화 장 행동요인을 도출하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별 변수 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224부를 SPSS/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요인은 안도감과 기대감, 불 안, 우울로 추출되었고, 코로나19 이후 화장 행동요인 은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 구로 추출되었다. 안도감과 기대감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우울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또한, 타인지향은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 관관계를 나타냈고,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심리적 변화 경험이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타인 지향적 화장 행동과 유행추구 적 화장 행동은 안도감과 기대감, 우 울,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펜데믹 (Pandemic) 상황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도출된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펜데믹 상황에서의 화장 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Visual Components of Chinese Entertainment Program Opening Animation - Focusing on the top 10 entertainment show index in 2022 - 中国娱乐节目开场动画视觉构成研究——以2022年十大娱乐节目指数为例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4
Zhongbin Huang, Sung Pil Kim
{"title":"A Study on the Visual Components of Chinese Entertainment Program Opening Animation - Focusing on the top 10 entertainment show index in 2022 -","authors":"Zhongbin Huang, Sung Pil Kim","doi":"10.37379/jksir.2023.76.14","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4","url":null,"abstract":"예능 프로그램 오프닝 애니메이션은 프로그램의 전 체 이미지를 구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시청자를 매 료시키고 프로그램의 개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오프 닝 애니메이션은 예능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예술 표현 형태로서 지속적인 혁신과 진화를 겪 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오프닝 애니 메이션이 갖는 시각적 요소를 면밀히 분석하여 작품의 품질과 시청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중국의 문화적 특색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한 오 프닝 애니메이션 작품의 제작을 위한 실질적 방안의 제 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관련 분야의 선행연구 및 각종 문헌을 수집·분 석함으로써 예능 프로그램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 디자인 원칙, 개념, 창작과정 및 경험, 영향요인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일정 수의 중국 예능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오 프닝 애니메이션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형식과 장르의 오프닝 애니메이션을 비교, 공통성과 차이점을 모색함 으로써 현재 디자인 동향과 규칙, 그리고 미래 가능성 을 탐색하였다. 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작품이 시각적 구성요소의 전 략적 운용을 통해 시청자에게 강한 시각적 자극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식성이 강하고 정교한 글꼴 디자 인, 풍부한 그래픽 디자인과 모션, 효과적인 카메라 무 브먼트, 조화로운 색조와 강렬한 색 대비는 모두 시청 자를 사로잡는 목적을 달성했다. 즉 시청자에게 강렬한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예능 프로그램 오프닝 애 니메이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of Oriental Raisin Tea on Consumer Preference 东方葡萄干茶包装设计中视觉元素对消费者偏好的影响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09
Se Young Ban, Cheol Lee
{"title":"The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of Oriental Raisin Tea on Consumer Preference","authors":"Se Young Ban, Cheol Lee","doi":"10.37379/jksir.2023.76.09","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9","url":null,"abstract":"최근 코로나 19를 겪은 이후 커진 건강 관련 소비자 들의 인식과 위드 코로나 정책 시행으로 술자리와 숙취 해소제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 의 숙취해소 욕구를 반영하고 건강식품의 역할을 하는 제품은 바로 헛개차이다. 헛개차는 국내 액상차 시장에 서 높은 판매율을 기록하고 있는 숙취해소 ‘기능성’ 차 의 종류이지만, 헛개차 시장에서 패키지를 기반으로 한 기업 마케팅 전략에서 경쟁이 적어 매출에 있어 각 기 업 간의 격차가 큰 실정이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헛개차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 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정 하에 연구 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패키지의 시각적 요소인 그래 픽, 레이아웃, 색상, 타이포그래피 네 가지 요소 중 색 채에 대한 호감도가 헛개차 패키지디자인 호감도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소비자 호감의 정도는 브랜드 지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그래픽과 레이아웃은 소비자의 호감을 더 이 끌어낼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는 시각적 요소 를 각각의 요소 하나로 보지 않고 하나의 패키지로 인 식하는 소비자들에게 소비활동 시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며, 향후 헛개차 시장 의 경쟁력과, 더욱 다양한 제품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Augmented Reality(AR) Storytelling Concept Design - Focused on animal posters at the Melbourne Zoo, Australia - 增强现实(AR)讲故事概念设计研究——以澳大利亚墨尔本动物园的动物海报为例
Illeo'seuteu'leisyeon po'leum Pub Date : 2023-09-30 DOI: 10.37379/jksir.2023.76.11
Yun Tae Nam
{"title":"A Study on Augmented Reality(AR) Storytelling Concept Design - Focused on animal posters at the Melbourne Zoo, Australia -","authors":"Yun Tae Nam","doi":"10.37379/jksir.2023.76.11","DOIUrl":"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1","url":null,"abstract":"현대 관광 목적지와 문화 시설은 더욱 참여적이고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티브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호 주 멜버른 동물원에서 진행된 증강현실(AR) 스토리텔링 콘셉트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이 프로 젝트는 M 대학교 디자인 학생들과 교수진 그리고 동물 원 관계자들이 협력하여 1학기 동안 진행한 디자인 과 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멜버른 동물원 관람객들에게 더욱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색다른 경험 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과 애니메이션 혹은 모 션그래픽 스토리텔링을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과 최신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및 프로토타입 들을 개발하고 이를 동물원 환경에서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동물원 스토리텔링은 첫째 물리적 공간과 가상 세계의 융합, 둘째 교육적 가치의 확장, 셋째 다양한 문화와 과학의 융합의 가능성, 넷째 감정적 공감과 관여 증진, 마지막으로 새로운 창작 및 창의성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관광목적지 디자인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39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