增强现实(AR)讲故事概念设计研究——以澳大利亚墨尔本动物园的动物海报为例

Yun Tae Nam
{"title":"增强现实(AR)讲故事概念设计研究——以澳大利亚墨尔本动物园的动物海报为例","authors":"Yun Tae Nam","doi":"10.37379/jksir.2023.76.11","DOIUrl":null,"url":null,"abstract":"현대 관광 목적지와 문화 시설은 더욱 참여적이고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티브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호 주 멜버른 동물원에서 진행된 증강현실(AR) 스토리텔링 콘셉트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이 프로 젝트는 M 대학교 디자인 학생들과 교수진 그리고 동물 원 관계자들이 협력하여 1학기 동안 진행한 디자인 과 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멜버른 동물원 관람객들에게 더욱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색다른 경험 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과 애니메이션 혹은 모 션그래픽 스토리텔링을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과 최신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및 프로토타입 들을 개발하고 이를 동물원 환경에서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동물원 스토리텔링은 첫째 물리적 공간과 가상 세계의 융합, 둘째 교육적 가치의 확장, 셋째 다양한 문화와 과학의 융합의 가능성, 넷째 감정적 공감과 관여 증진, 마지막으로 새로운 창작 및 창의성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관광목적지 디자인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Augmented Reality(AR) Storytelling Concept Design - Focused on animal posters at the Melbourne Zoo, Australia -\",\"authors\":\"Yun Tae Nam\",\"doi\":\"10.37379/jksir.2023.76.11\",\"DOIUrl\":null,\"url\":null,\"abstract\":\"현대 관광 목적지와 문화 시설은 더욱 참여적이고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티브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호 주 멜버른 동물원에서 진행된 증강현실(AR) 스토리텔링 콘셉트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이 프로 젝트는 M 대학교 디자인 학생들과 교수진 그리고 동물 원 관계자들이 협력하여 1학기 동안 진행한 디자인 과 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멜버른 동물원 관람객들에게 더욱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색다른 경험 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과 애니메이션 혹은 모 션그래픽 스토리텔링을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과 최신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및 프로토타입 들을 개발하고 이를 동물원 환경에서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동물원 스토리텔링은 첫째 물리적 공간과 가상 세계의 융합, 둘째 교육적 가치의 확장, 셋째 다양한 문화와 과학의 융합의 가능성, 넷째 감정적 공감과 관여 증진, 마지막으로 새로운 창작 및 창의성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관광목적지 디자인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现代旅游目的地和文化设施为了提供更加参与性和有趣的体验,正在引进支援多样的互动的数码技术。本论文是对在澳大利亚墨尔本动物园进行的增强现实(AR)故事概念设计项目的研究结果。该项目分析了M大学设计学生、教授和动物园工作人员合作进行的一学期设计过程和结果。研究目的是为了给墨尔本动物园的游客提供更有趣、更难忘的体验,探索增强现实技术与动画或动画图像故事相结合的方法。在研究过程中,利用多种设计方法论和最新增强现实技术开发了新的数字内容和原型,并在动物园环境中进行了测试。通过本研究运用了增强现实的故事动物园首先是物理空间和虚拟世界的融合,二是教育价值的扩张,第三多样的文化和科学的融合的可能性,第四情感增进共识和干预,最后,新的创作及创意可以确认了扩张的可能性。进一步说,在开发旅游目的地设计时,希望能作为基础资料使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Augmented Reality(AR) Storytelling Concept Design - Focused on animal posters at the Melbourne Zoo, Australia -
현대 관광 목적지와 문화 시설은 더욱 참여적이고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티브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호 주 멜버른 동물원에서 진행된 증강현실(AR) 스토리텔링 콘셉트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이 프로 젝트는 M 대학교 디자인 학생들과 교수진 그리고 동물 원 관계자들이 협력하여 1학기 동안 진행한 디자인 과 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멜버른 동물원 관람객들에게 더욱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색다른 경험 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과 애니메이션 혹은 모 션그래픽 스토리텔링을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과 최신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및 프로토타입 들을 개발하고 이를 동물원 환경에서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동물원 스토리텔링은 첫째 물리적 공간과 가상 세계의 융합, 둘째 교육적 가치의 확장, 셋째 다양한 문화와 과학의 융합의 가능성, 넷째 감정적 공감과 관여 증진, 마지막으로 새로운 창작 및 창의성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관광목적지 디자인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