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从计划行为理论的角度对负责任饮酒运动视频效果的研究——以韩国健康促进研究所提供的运动视频为例","authors":"Jae Min Na, Eun Joo Lee","doi":"10.37379/jksir.2023.76.07","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 사회에서 음주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한 폐해를 인식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사회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음주폐해의 예방이 건강 분야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시민의 건강 문제는 이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다양한 건강증진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음주폐해예방을 주제로 한 콘텐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공공 부문의 대국민 캠페인에 있어 서도 영상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인 시청각 표현 요소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요소가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인인 건강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동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모션그래픽의 두 구성 요소는 건강행동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주관적 규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션그 래픽의 두 가지 요소가 지각된 행동 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모션그래픽 요소가 건 강행동 실천에 이를 수 있도록 모션그래픽 요소의 활용 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Effectiveness of Motion Graphic Videos for Responsible Drinking Campaigns - Focusing on campaign videos provi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uthors\":\"Jae Min Na, Eun Joo Lee\",\"doi\":\"10.37379/jksir.2023.76.07\",\"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 사회에서 음주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한 폐해를 인식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사회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음주폐해의 예방이 건강 분야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시민의 건강 문제는 이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다양한 건강증진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음주폐해예방을 주제로 한 콘텐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공공 부문의 대국민 캠페인에 있어 서도 영상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인 시청각 표현 요소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요소가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인인 건강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동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모션그래픽의 두 구성 요소는 건강행동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주관적 규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션그 래픽의 두 가지 요소가 지각된 행동 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모션그래픽 요소가 건 강행동 실천에 이를 수 있도록 모션그래픽 요소의 활용 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Effectiveness of Motion Graphic Videos for Responsible Drinking Campaigns - Focusing on campaign videos provi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
한국 사회에서 음주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한 폐해를 인식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사회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음주폐해의 예방이 건강 분야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시민의 건강 문제는 이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다양한 건강증진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음주폐해예방을 주제로 한 콘텐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공공 부문의 대국민 캠페인에 있어 서도 영상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인 시청각 표현 요소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요소가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인인 건강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동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모션그래픽의 두 구성 요소는 건강행동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주관적 규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모션그 래픽의 두 가지 요소가 지각된 행동 통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모션그래픽 요소가 건 강행동 실천에 이를 수 있도록 모션그래픽 요소의 활용 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