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 due to COVID-19 on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authors":"Hye Youn Cho","doi":"10.37379/jksir.2023.76.1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이 여 대생들의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 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의 요인과 코로나19 이후의 화 장 행동요인을 도출하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별 변수 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224부를 SPSS/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요인은 안도감과 기대감, 불 안, 우울로 추출되었고, 코로나19 이후 화장 행동요인 은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 구로 추출되었다. 안도감과 기대감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우울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또한, 타인지향은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 관관계를 나타냈고,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심리적 변화 경험이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타인 지향적 화장 행동과 유행추구 적 화장 행동은 안도감과 기대감, 우 울,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펜데믹 (Pandemic) 상황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도출된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펜데믹 상황에서의 화장 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이 여 대생들의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 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의 요인과 코로나19 이후의 화 장 행동요인을 도출하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별 변수 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224부를 SPSS/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로 인한 심리적 변화 경험요인은 안도감과 기대감, 불 안, 우울로 추출되었고, 코로나19 이후 화장 행동요인 은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 구로 추출되었다. 안도감과 기대감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우울은 불안과 타인지향,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또한, 타인지향은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 관관계를 나타냈고, 나에게 어울리는 변화는 관계지향, 유행추구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심리적 변화 경험이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타인 지향적 화장 행동과 유행추구 적 화장 행동은 안도감과 기대감, 우 울,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펜데믹 (Pandemic) 상황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도출된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펜데믹 상황에서의 화장 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