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emantic Analysis of Spanish Civil War Propaganda Poster - Focusing on the grotesque aspects -","authors":"Jae Won Chang","doi":"10.37379/jksir.2023.76.17","DOIUrl":null,"url":null,"abstract":"스페인 내전은 계급간의 투쟁, 권위주의와 자유주의, 혁명과 반혁명, 공산주의와 파시즘 간의 투쟁으로 인식 되는 최초의 이데올로기 전쟁이었으며 프로파간다는 이 전쟁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특히 포스터 분야에서 이러한 특색이 두드러진다. 전쟁은 인류에게 잔인함과 두려움 자체이고 스페인 내전에서는 이러한 그로테스크 의 감정이 포스터를 통해 호소되었다. 본 연구는 그로 테스크의 미학적 특성을 ‘표현의 잔혹성과 혐오성’, ‘변 형된 육체의 엽기성’, ‘희화화된 풍자성’이라는 주제로 분류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페인 내전의 프로파간다 포 스터에 표현되어있는 그로테스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분석을 통해 포스터에 함의된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두 진영은 국제사회와 스페인 국 민들에게 각자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그로테스크의 표현방식을 통해 상대를 희화하 고 짐승이나 괴물로 비인간화하였으며 잔인하거나 이질 적, 또는 공포스러운 이미지로 불안을 야기하는 방식으 로 인간의 적개심과 동정심, 두려움에 직접적으로 호소 하였다. 두 진영은 공통적으로 연대와 참여의 이데올로 기를 전달하고 있었으나 공화진영은 자유와 평등과 권 위의 붕괴를, 국민진영은 통합과 안정과 기존질서의 유 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연구 를 통하여 프로파간다 포스터에서 그로테스크적 특성들 은 그 메시지 전달자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다양하게 분 석되고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스페인 내전은 계급간의 투쟁, 권위주의와 자유주의, 혁명과 반혁명, 공산주의와 파시즘 간의 투쟁으로 인식 되는 최초의 이데올로기 전쟁이었으며 프로파간다는 이 전쟁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특히 포스터 분야에서 이러한 특색이 두드러진다. 전쟁은 인류에게 잔인함과 두려움 자체이고 스페인 내전에서는 이러한 그로테스크 의 감정이 포스터를 통해 호소되었다. 본 연구는 그로 테스크의 미학적 특성을 ‘표현의 잔혹성과 혐오성’, ‘변 형된 육체의 엽기성’, ‘희화화된 풍자성’이라는 주제로 분류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페인 내전의 프로파간다 포 스터에 표현되어있는 그로테스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분석을 통해 포스터에 함의된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두 진영은 국제사회와 스페인 국 민들에게 각자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그로테스크의 표현방식을 통해 상대를 희화하 고 짐승이나 괴물로 비인간화하였으며 잔인하거나 이질 적, 또는 공포스러운 이미지로 불안을 야기하는 방식으 로 인간의 적개심과 동정심, 두려움에 직접적으로 호소 하였다. 두 진영은 공통적으로 연대와 참여의 이데올로 기를 전달하고 있었으나 공화진영은 자유와 평등과 권 위의 붕괴를, 국민진영은 통합과 안정과 기존질서의 유 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연구 를 통하여 프로파간다 포스터에서 그로테스크적 특성들 은 그 메시지 전달자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다양하게 분 석되고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