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透明媒介的用户审美体验研究——基于情感词汇的视角","authors":"Soo Jin Lee","doi":"10.37379/jksir.2023.76.0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투명 미디어에 반영된 투명도의 정도에 따 른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연구하여 시각 콘텐츠를 구현하 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투명성 은 프레임이 없는 전체 투명(TV, 모니터), 부분 투명(아나 몰픽), 디바이스가 없음(홀로그램), 3가지 조건으로 구분 하였다.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형용사적 감성어휘와 좋음, 만족의 종합적인 평가 어휘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투명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미적 경험은 시각적 생동감, 새로움, 조화성, 장식성, 멋있음, 확장성으 로 나타났으며, 3가지 유형의 투명성에서 미적 경험의 차 이가 있었다. 투명 미디어에 대한 만족함은 생동감, 새로 움, 조화성, 멋있음의 측면에서, 좋음의 평가에는 조화성, 멋있음 두 속성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용자의 미적 경 험의 만족성이 높다 하더라도 좋게 평가하지는 않음을 의 미한다. 투명 미디어의 보편화에 따라 새로움의 경험은 약해질 수 있는데, 새로움을 제외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3가지 투명성 조건에서 각각 다른 미적 경험이 더 명확하 게 나타났다. 디바이스 없는 투명 조건에서는 움직임의 요소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지금까지 프린팅·디지털 미디 어에서의 불투명성과는 달리, 투명이라는 새로운 미적 경 험은 물리적·관념적 속성에 의해 미디어, 시각콘텐츠, 미 디어가 놓인 공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침투성’이 있다. 따라서 투명성의 조건에 적합한 콘텐츠가 구현되어 야 하며 각각의 미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긍정적 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User's Aesthetic Experience of Transparent Media -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authors\":\"Soo Jin Lee\",\"doi\":\"10.37379/jksir.2023.76.0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투명 미디어에 반영된 투명도의 정도에 따 른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연구하여 시각 콘텐츠를 구현하 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투명성 은 프레임이 없는 전체 투명(TV, 모니터), 부분 투명(아나 몰픽), 디바이스가 없음(홀로그램), 3가지 조건으로 구분 하였다.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형용사적 감성어휘와 좋음, 만족의 종합적인 평가 어휘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투명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미적 경험은 시각적 생동감, 새로움, 조화성, 장식성, 멋있음, 확장성으 로 나타났으며, 3가지 유형의 투명성에서 미적 경험의 차 이가 있었다. 투명 미디어에 대한 만족함은 생동감, 새로 움, 조화성, 멋있음의 측면에서, 좋음의 평가에는 조화성, 멋있음 두 속성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용자의 미적 경 험의 만족성이 높다 하더라도 좋게 평가하지는 않음을 의 미한다. 투명 미디어의 보편화에 따라 새로움의 경험은 약해질 수 있는데, 새로움을 제외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3가지 투명성 조건에서 각각 다른 미적 경험이 더 명확하 게 나타났다. 디바이스 없는 투명 조건에서는 움직임의 요소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지금까지 프린팅·디지털 미디 어에서의 불투명성과는 달리, 투명이라는 새로운 미적 경 험은 물리적·관념적 속성에 의해 미디어, 시각콘텐츠, 미 디어가 놓인 공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침투성’이 있다. 따라서 투명성의 조건에 적합한 콘텐츠가 구현되어 야 하며 각각의 미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긍정적 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PeriodicalId\":491773,\"journ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lleo'seuteu'leisyeon po'le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379/jksir.2023.76.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User's Aesthetic Experience of Transparent Media -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
본 연구는 투명 미디어에 반영된 투명도의 정도에 따 른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연구하여 시각 콘텐츠를 구현하 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투명성 은 프레임이 없는 전체 투명(TV, 모니터), 부분 투명(아나 몰픽), 디바이스가 없음(홀로그램), 3가지 조건으로 구분 하였다. 사용자의 미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형용사적 감성어휘와 좋음, 만족의 종합적인 평가 어휘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투명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미적 경험은 시각적 생동감, 새로움, 조화성, 장식성, 멋있음, 확장성으 로 나타났으며, 3가지 유형의 투명성에서 미적 경험의 차 이가 있었다. 투명 미디어에 대한 만족함은 생동감, 새로 움, 조화성, 멋있음의 측면에서, 좋음의 평가에는 조화성, 멋있음 두 속성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용자의 미적 경 험의 만족성이 높다 하더라도 좋게 평가하지는 않음을 의 미한다. 투명 미디어의 보편화에 따라 새로움의 경험은 약해질 수 있는데, 새로움을 제외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3가지 투명성 조건에서 각각 다른 미적 경험이 더 명확하 게 나타났다. 디바이스 없는 투명 조건에서는 움직임의 요소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지금까지 프린팅·디지털 미디 어에서의 불투명성과는 달리, 투명이라는 새로운 미적 경 험은 물리적·관념적 속성에 의해 미디어, 시각콘텐츠, 미 디어가 놓인 공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침투성’이 있다. 따라서 투명성의 조건에 적합한 콘텐츠가 구현되어 야 하며 각각의 미적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긍정적 인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