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lin'i mi'dieo yeon'gu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nalysis of subject operation statu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curriculum’ 职前幼儿教师学科运作现状分析:“幼儿课程”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31
Ye Na Shin, Ji Yeon Kim, Byeol Nyeo Choi, Yu jin Yang
{"title":"Analysis of subject operation statu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curriculum’","authors":"Ye Na Shin, Ji Yeon Kim, Byeol Nyeo Choi, Yu jin Yang","doi":"10.21183/kjcm.2023.09.22.3.31","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3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 시행 이후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유아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30개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개설시기는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목표는 주로 ‘지식’을 기억하고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지식의 ‘적용’과 ‘평가’와 ‘분석’에도 높은 비중을 가지고 수업 목표를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합’의 수업목표는 불분명하게 계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수업내용은 유아교육과정의 기초 영역이 유아교육과정의 실행영역보다 좀 더 높은 비중으로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방법에 대한 결과는 전체 수업 방법 중 이론식 강의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의토론이나 시험 및 참관 등의 수업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전통적인 교수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과정 수업의 평가 방법을 살펴보면 ‘출석’과 ‘중간고사’, ‘기말고사’와 ‘과제’를 중점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할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6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young children’s play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etic ability 教师游戏支持能力对幼儿游戏流的影响:教师共情能力的中介作用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83
Yung-Eui Yoo, Hye-Jung Hong
{"title":"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young children’s play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etic ability","authors":"Yung-Eui Yoo, Hye-Jung Hong","doi":"10.21183/kjcm.2023.09.22.3.83","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83","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놀이몰입 간의 영향 관계에서 교사의 공감능력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214명과 담당하는 학급의 유아 642명을 연구대상으로 놀이지원역량 척도, 유아 놀이몰입 척도, 공감능력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2에서 Model 4를 적용하여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지원역량, 유아 놀이몰입, 공감능력 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은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놀이 몰입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놀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 놀이몰입에 기여하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공감능력 관계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7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play guida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9 职前幼儿教师教育项目“游戏引导”教材分析——以2019年以来出版的教材为例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51
Joo-Hye Lee, Nak-Heung Kim
{"title":"Analysis of the textbooks of ‘play guida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9","authors":"Joo-Hye Lee, Nak-Heung Kim","doi":"10.21183/kjcm.2023.09.22.3.151","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5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중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이 적용된 교재를 분석하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재 16권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교재의 내용을 분류하고 내용별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다. 각 교재는 다양한 체계와 형식으로 놀이사례가 기술되어 있었고 2019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기조에 근거하여 놀이지원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서술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관련 내용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별 내용 구성비율은 ‘놀이지원의 실제’, ‘놀이지원 및 교사역할’, ‘놀이발달’, ‘놀이에 대한 이해’, ‘놀이와 교육’ 순이었다.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 교재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0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职前幼儿教师过去行为频率、未来时间观和气候变化知识对应对气候变化行为意愿的影响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11
Keum-Ho Shin
{"title":"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authors":"Keum-Ho Shin","doi":"10.21183/kjcm.2023.09.22.3.111","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1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0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 共情和自我弹性在幼儿教师效能感与师幼互动关系中的多重平行中介作用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99
Eunyoung Baik
{"title":"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authors":"Eunyoung Baik","doi":"10.21183/kjcm.2023.09.22.3.199","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9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세종시․대전시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공감, 자아탄력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확인하여 분포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은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에서 model4를 이용하였고, Bootstrapping의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뿐 아니라 공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6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focus on metaphor analysis 幼儿教育机构职前教师对数字媒体指导的感知研究:以隐喻分析为重点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29
So Yeong Yun, Sang Seon Lee, Min Jung Lim
{"title":"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focus on metaphor analysis","authors":"So Yeong Yun, Sang Seon Lee, Min Jung Lim","doi":"10.21183/kjcm.2023.09.22.3.129","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2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및 아동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은유분석을 통해 범주화 및 수량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위 내용 유형은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있어 교사 역할, 디지털 미디어 지도의 방향성으로 분류하였으며, 하위 내용유형은 필요, 중립, 불필요, 방향안내, 역량 증진, 문제 예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동시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 지도 관련 교육 내용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0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7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幼儿教师游戏支持能力、教学创造力和游戏教学效能对幼儿游戏性的影响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
Jeong Min Lee, Jae Yeon Oh
{"title":"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authors":"Jeong Min Lee, Jae Yeon Oh","doi":"10.21183/kjcm.2023.09.22.3.1","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과 나아가 유아들에게 가치있는 놀이와 협동적인 놀이경험을 제공하고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42개소의 만 3,4,5세 유아담임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하위요인별로는 교수창의성의 인지적요인, 놀이지원역량의 놀이지원지식, 놀이지원평가, 놀이지원계획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은 놀이지원역량, 사회적자발성은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 인지적자발성은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노력과 놀이환경 구성 및 지속적인 개선 및 변화 그리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6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nd theory of mind on musical ability 儿童共情和心理理论对音乐能力的影响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179
Jae-Eun Jung
{"title":"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nd theory of mind on musical ability","authors":"Jae-Eun Jung","doi":"10.21183/kjcm.2023.09.22.3.179","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7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그리고 음악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284명으로 평균월령은 55.7개월이었다. 연구자료는 ‘공감능력 검사도구’, ‘마음이론 검사도구’, 그리고 ‘음악적성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일대일로 연구대상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음악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이론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이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이차틀린믿음이 음악적 능력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의 행복과 분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사회정서적 관점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7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教师共情能力对学龄前儿童亲社会行为的中介作用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21183/kjcm.2023.09.22.3.57
Se-Hyeon Bang, Hyun Seo
{"title":"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authors":"Se-Hyeon Bang, Hyun Seo","doi":"10.21183/kjcm.2023.09.22.3.57","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5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의 학급담임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11명과 유아 211명이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 친사회적행동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9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96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ing the selection factors and need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parents of 3-year-old infants: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3岁幼儿家长对幼儿园、日托中心的选择因素及需求探讨:以语义网络分析法为重点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6-30 DOI: 10.21183/kjcm.2023.06.22.2.47
So Jung Lee, Yoon Hee Seo
{"title":"Exploring the selection factors and need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parents of 3-year-old infants: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authors":"So Jung Lee, Yoon Hee Seo","doi":"10.21183/kjcm.2023.06.22.2.47","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4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만 3세 유아 학부모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요구에 대한 인식구조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충청권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학부모 400명(유치원: 200명, 어린이집: 200명)이며,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와 분석을 위해 NetMiner 4를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관 선택 요인을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거리’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중심성에서는 공통적으로 ‘교사’, ‘거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위세중심성에서는 유치원은 ‘교사’, 어린이집은 ‘거리’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등하원 편의’, ‘교사 및 조직풍토’, ‘다양한 교육 경험’이 나타났고, 유치원은 ‘주변 사람들의 평판’, 어린이집은 ‘돌봄 운영 관리’가 나타났다. 둘째, 기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만족’, ‘활동’, ‘교사’, ‘교육’, ‘체험’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 위세중심성에서 공통적으로 ‘활동’과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은 ‘친구’,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키워드가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결과 공통적으로 ‘다양한 교육 경험’, ‘학급당 유아 및 교사 수’, ‘등하원 편의’가 나타났고, 유치원에는 ‘특별활동’,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방지’가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7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1369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