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
{"title":"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authors":"Eunyoung Baik","doi":"10.21183/kjcm.2023.09.22.3.1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세종시․대전시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공감, 자아탄력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확인하여 분포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은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에서 model4를 이용하였고, Bootstrapping의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뿐 아니라 공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세종시․대전시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공감, 자아탄력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확인하여 분포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은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에서 model4를 이용하였고, Bootstrapping의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뿐 아니라 공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本研究是为了验证婴儿教师的教师效能感和教师-婴儿相互作用的关系中共鸣和自我弹性的多重并列媒介效果而实施的。为此,以忠清南道·世宗市·大田市的326名在职婴儿教师为对象,发放教师效能感、教师-婴儿相互作用、共鸣、自我弹性等问卷后回收。资料分析利用SPSS 23.0计算出频率和百分比、Cronbach ' s α、Pearson相关系数,确认平均值和标准偏差以及矮度、尖度,检查分布的倾向性和规定性。媒介效应验证在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中使用model4,并通过Bootstrapping的方法确认媒介效应的统计显著性。研究结果表明,婴儿教师对教师-婴儿相互作用的教师效能感的影响,表现出有共鸣和自我弹性的部分媒介效果。通过这样的结果可以看出,为了增进教师-婴儿的相互作用,支持婴儿教师不仅提高教师的效能感,还提高共鸣和自我弹性是有意义的。